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빛의 속도로 달리면서 거울을 볼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창문이 가려져 바깥 풍경을 볼 수 없다면 기차가 달리고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17세기
과학
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런 경우에 기차가 달리고 있는지 알 수 없다고 설명했어요. 기차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지 정지해 있는지 구별할 수 없으므로 이 두 경우에 물리법칙을 똑같이 적용할 수 ... ...
[
과학
뉴스] 굿바이! 소행성 탐사선 ‘돈(Dawn)’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큰 왜행성 ‘세레스(Ceres)’의 궤도를 돌며 표면의 얼음 화산 등을 관찰했다. 돈을 통해
과학
자들은 세레스가 지질학적으로 아직 활동적인 상태일 수 있으며 표면에 소금이 형성돼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세레스와 베스타를 방문한 탐사체는 돈이 유일하다. 돈은 지구와 연락이 끊긴 뒤에도 수십 ... ...
[이달의 사물] 호랑가시나무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12월의 즐거움은 뭐니뭐니해도 크리스마스입니다. 거리에 울려 퍼지는 캐롤과 사랑하는 사람에게 쓰는 크리스마스 카드, 선물이 가득 쌓인 크리스마스트리의 모습은 많은 이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죠. 이번 달은 크리스마스 카드나 트리를 장식하는 ‘호랑가시나무’, 영어로 흔히 ‘홀리(holly)’ ... ...
[
과학
뉴스] 나방의 가슴 털, 스텔스 기술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털’로 천적인 박쥐를 피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토마스 닐 영국 브리스톨대 생명
과학
과 연구원팀은 나방의 가슴 털이 음향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박쥐의 포식 대상인 나방 두 종과 박쥐가 먹지 않는 나비 두 종에 초음파를 쏴 가슴에 난 털이 에너지를 ... ...
[
과학
뉴스] 배고플 때 예민? 이유 있었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음식을 찾기 위해 발달한 생존 본능이다. 최근 김규형 대구경북
과학
기술원(DGIST) 뇌·인지
과학
전공 교수팀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해 배고픔과 포만감이 어떻게 동물의 행동을 변화시키는지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알아냈다. 예쁜꼬마선충은 페로몬 ‘acsr#3’을 감지하면 회피행동을 보이는데, 선충이 ... ...
[
과학
뉴스] 눈병 고치는 초소형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피어 피셔 독일 슈투트가르트대 물리화학과 교수팀은 안구로 약물을 전달하는 초소형 의학로봇을 개발해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1월 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제작한 로봇인 ‘나노프로펠러’는 지름 12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길이 400nm의 초소형 로봇이다. 나선형 꼬리를 지닌 올챙 ...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있다. 이들은 스스로를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라 부르며 프로젝션 맵핑으로 예술과
과학
의 균형 잡힌 조합을 꿈꾼다. 현실 속에서 환상을 만들어낸, 팀랩의 작품들을 소개한다. Universe of Water Particles 물 입자의 우주 절벽 아래로 폭포가 떨어진다. 관람객이 발을 디디는 곳마다 꽃이 핀다. ... ...
KAIST
과학
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과학
로켓을 개발할 계획이다. 권 교수는 “내년 발사를 목표로 10km 이상 비행 가능한
과학
로켓을 개발 중”이라며 “국내에서는 발사가 어려워 미국 모하비 사막에 있는 민간운영 발사장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장기적으로는 초소형 인공위성인 큐브샛을 지구 궤도에 진입시킬 수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누군가와 연인이 되기 위해서는 우리와 비슷한 모습의 실물이 중요한 것처럼 보입니다.
과학
동아 독자들도 AI와 사랑에 빠지기 위해서는 만질 수 있는 실물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실제로 사람들은 성능이 뛰어나지 않아도 실물 로봇에게 애착을 가지기도 합니다. 지난해 일본에서는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이뤄지지 않았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문제는 일반적으로 순수 기초
과학
은 응용
과학
에 비해 연구비를 따기 어렵다는 점이다. 1년 중 4분의 3에 이르는 기간을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 보내야 한다는 점 또한 연구비를 지원받는 데 걸림돌이 된다. 기존의 실험실 위주의 연구비 지원 체계에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