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4계절의 기후는 어떻게 바뀌어지는가?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1천7백18.2mm, 제주도가 1천4백40.0mm이다. 같은 제주도에서 서귀포와 제주 사이에 강수량의
차이
가 큰 것은 한라산의 지형적인 영향 때문이다. 또 장마철이나 태풍시 동지나 해상으로부터 습기를 많이 포함한 남서기류의 유입으로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한다. 같은 도서이나 동해상에 위치한 울릉도의 ... ...
지난 1세기동안 지구의 대기중 CO₂20%증가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생긴 구멍과 1백여년 전에 생긴구멍(얼음층을 통해 시기를 알아냄)의 CO₂비율에 20%나
차이
가 있었다. 즉 대기중의 CO₂가 지난 1세기동안 20%나 증가했다는 것이다 ... ...
뉴튼, 다윈이후의 영국의 현대 과학자 5인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세운 사람에게 수여하는 명예훈장 OM(Order of Merit)이라는 것이 있다. 내용적으로는 다소
차이
가 있지만 이른바 '영국판 국민영예상'이다. 단 이것은 24명에게만 수여하며 누군가 사망하여 결원이 생길 때 한해서 보충된다. 그 OM가운데서 상위에 속하는 사람이 '알란 호지킨'이다. 63년에 그와 함께 ... ...
컴퓨터 직업병을 경계하자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쉽고 쓰기 쉬운 방향으로 개량되어 왔다. 그러나 기본적인 조직이나 구성에는 그렇게 큰
차이
가 없다. 심하게 말하면 컴퓨터는 보다 우수한 여러 사람의 건강과 노력을 리듬으로 하여 발달한 기계로서 이 기계는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의 피와 땀을 먹고 자라게 될 것이며 5세대 이후의 지능컴퓨터 ... ...
신깐센은 왜 2등이 되었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란 것은 커브 바깥 쪽의 레일을 안쪽 보다 높이는 것이다. 그렇지만 현재 최대 18cm인 이
차이
를 더 크게 하는 것은 열차가 거기에 도착했을 때나 또는 측풍을 받았을 때의 안전을 고려하면 곤란한 문제가 된다.다른 방식 즉 차체를 기계적으로 경사지게 하는 방식은 진자식(振子式)이라고 한다. 이것은 ... ...
해양에너지 인류의 도전을 기다리는 미래에너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한 타당성 검토 결과 가로림만이 가장 유력하다. 가로림만의 가장 큰 밀물과 썰물의
차이
는 6.5m로서 입지조건은 비교적 무난한 편이라 할 수 있다. 발전방식은 단조지 단류식이고 시설용량은 4백80MW(20MW×24기)정도가 될 것이다. 개발시기는 빨라야 1990년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파력발전선박의 ... ...
공해없는 연료절약형 자동차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변화, 엔진의 급격한 부하변동, 대기압의 변화, 외기온도의변화, 공기와 연료의 관성
차이
등으로 인해 항상 혼합비가 일정치 못하고 변화하기 마련이다.한편 이 혼합비는 자동차의 원활한 운행을 하는데 필수적이다. 즉 자동차운행조건에 알맞는 혼합비가 공급되어야만 한다.(별표참조).이와 같은 ... ...
공룡비행기, 워싱턴 상공을 난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움직여야 한다. 이것은 공기가 안쪽에서 보다 바깥쪽에서 더빨리 흐른다는 뜻이다. 그
차이
를 감당하지 못해 콘도르의 안쪽 날개는 그대로 밑으로 내려떨어지곤 했다.날개 왜곡장치의 응용그런데 해결의 실마리는 라이트 형제로부터 왔다. 맥크레디는, 조종사가 회전을 할 적에 안쪽 날개를 위로 틀 ... ...
스피커시스템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식으로 만들어 보기로 하자.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피커 유니트는 종류에 따라 가격
차이
가 많으므로 가급적 오디오용으로 자석 밀도가 많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콘덴서2웨이식으로 만들기위해서는 콘덴서가 필요하다.특히 고음용 튜이터에 사용되는 콘덴서 용량은 사용하는 튜이터의 ... ...
블랙홀의 정체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구멍의 막대한 중력 때문에 깨어지거나 실처럼 가늘게 늘어나지만 걸리는 시간은 별로
차이
가 없다.우리는 검은 구멍에서 멀리 떨어진 외부에서 보고 있기 때문에 별의 표면이 수축하는 것이 R>${R}_{G}$에서 R=${R}_{G}$까지 무한히 긴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생각될지 모르나 실제는 그렇지 않다. 결국 ... ...
이전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