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박
복부
범선
돛단배
선
용기
기량
d라이브러리
"
배
"(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약물 안전하게 수송하는 분자 곶감타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것이다.더욱이 분자스위치는 기존의 칩보다 수십억
배
나 작고 스위칭되는 속도도 수백억
배
나 빠르다. 이를 이용하면 속도와 크기면에서 기존 컴퓨터에 비교할 수 없는‘나노슈퍼컴퓨터’가 가능해진다. 세계의 많은 과학자는 초분자를 이용한‘화학적으로 조립된 전자나노컴퓨터’를 실현시키기 ... ...
격리된 방에서 교신하려면?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또 소리는 전달되는 매질에 따라서도 속력이 달라진다. 물 속에서는 공기에서보다 약 4
배
, 강철에서는 약 15
배
빠르게 이동한다. 전달속도는 대체로 기체보다 액체에서, 액체보다 고체에서 더 빠르다. 철길에서 귀를 땅에 대고 선로에서 나는 소리를 들으면 멀리서 달려오는 기차소리는 철도를 통해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만들어지는 구멍의 크기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탄소나노튜브를 마음대로
배
치시킬 수 있다는 말이다. 또한 수직으로 성장시키기 때문에 기존의 수평성장보다 높은 집적도를 얻을 수 있다.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7월에 열린 ‘나노튜브 2001’ 학회에 초청·발표돼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 ② 몸에 존재하는 자연산 슈퍼컴 DNA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핵심부품인 반도체보다 수천
배
작다. 더욱이 그 저장용량은 기존 메모리 소자에 비해 1012
배
나 된다. 1비트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기존 메모리 소자는 1012나노미터의 정육면체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 비해 DNA 컴퓨터는 1나노미터의 공간만 있으면 같은 정보량을 저장할 수 있다.물론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소유자의 동의 없이 사용자의 자원을 이용하므로 윤리적·법적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을
배
제할 수 없다. 새로운 기술의 발전에 따른 윤리적 성숙이 강조돼야 하는 이유다. 새로운 혁명 준비이제 우리는 성능의 한계를 지닌 단일 컴퓨터에서 끙끙대던 시절을 지나 나의 컴퓨팅 자원과 다른 사람들의 ... ...
인간 유전병 규명 도움주는 개 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형태적·생리적으로 다르게 육성된 종)이 4백여종에 이른다. 품종에 따라 몸무게가 최대 50
배
나 차이가 나고, 생김새도 전혀 딴판일 수 있다. 유전자가 어떻게 발현돼 이와 같이 다양한 모양을 갖는지도 흥미로운 연구 주제다. 사실 생물학에서 ‘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연구는 파블로프의 ... ...
시판허가 내려진 응급피임약 논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인공유산 건수가 1백50만건으로, 낙태율이 성문화가 가장 개방됐다는 네덜란드의 50
배
에 달한다”며 “청소년의 성교육이 제대로 안되고 성행위를 막을 수 없는 상황에서, 서구에서 안전도가 입증된 응급피임약의 도입은 당연하다. 응급피임이 안되면 그 다음은 당연히 인공중절이다. 지금까지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있다.정부와 노바티스사는 한발자국씩 물러서서 고통받는 환자들을 우선적으로
배
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환자 곁에서 애타는 마음으로 환자를 지키는 가족들을 위해서라도 하루 속히 합리적인 가격을 책정해야 할 것이다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좀더 효율적으로 이온엔진에 전력을 공급하는 업그레이드된 태양전지판, 기존의 것보다 2
배
나 가벼운 통신장치, 어떤 일에 대처할 때 탐사선이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자동운행시스템) 등이 딥스페이스 탐사선에 사용됐다.소행성 탐사하며 신기술 ... ...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극소량의 액체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은 개발돼 있지 못하다. 이슬방울보다 수천
배
나 부피가 작은 액체를 다루는 분야인 마이크로 유체공학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포항공대 생의학분석기술연구실의 한종훈 교수는 “마이크로 유체공학이야말로 생의학 분석화학분야에서 가장 큰 화두다. ... ...
이전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