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둘러보던 중 반가운 얼굴이 눈에 확 들어왔어! 동아사이언스 부스에서 미션키트맨을
발견
했거든. 10가지 과학미션을 실험하고 각 미션의 과학적인 원리를 배우는 미션키트맨~! 시온잉크로 마술카드를 만들고 과학 실험하는 장면을 직접 보니 흥미 만점! 명예기자로 취재도 하고 여러 가지 체험도 한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제작된 적이 없다는 사실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특히 야생에서 사는 새들의 둥지를
발견
하거나 새가 둥지를 짓는 과정을 지켜보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야생 새들은 둥지를 짓는 과정이 천적에게 노출되면 그 둥지를 포기하고 다른 장소에 둥지를 다시 짓는다.새 둥지는 새의 종류만큼 다양하다.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되지 않는 이상 무언가를 창조하는 삶을 살지는 못할 것이다. 과학자는 세상의 법칙을
발견
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것을 만드는 창조적인 직업이다. 따라서 내 선택에 후회는 없다.2. 주말을 바쳐가면서까지 피아노를 계속하는 건 연주자로 데뷔하려는 생각도 있는 게 아닌가?솔직히 그렇다. 얼마 전 ... ...
동시
발견
과 우선권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때문입니다. 이번 논제에서는 누가 먼저
발견
했는가와 같은 우선권 자체보다 누구의
발견
이 더 수준이 높은지 또 누가 먼저 더 빨리 결론까지 도달하는가가 더 중요함을 언급하는 답안이 출제 의도를 제대로 파악한 답안입니다. 뛰어난 답안이지만 출제 의도를 빗겨간 점이 아쉽습니다. 생각 ... ...
피부로 산소 감지하는 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답니다.왜 놀라셨나요? 랜들 존슨 교수가 쥐의 피부에서 무언가를
발견
했나요?놀라지 마세요. 우리 쥐의 피부세포에 산소를 감지하는‘HIF-1a’라는 유전자가 있어, 적혈구 숫자를 늘리는 호르몬의 농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고 해요.피부에서 산소를 감지할 수 있다니,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정밀 조사했다. 그 결과 복측 줄무늬체에 있는 중격의지핵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뇌의 보상센터라고 알려진 중격의지핵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데 도파민은 뇌의 쾌락과 보상 체계와 관련돼 있다. 마약이나 도박, 섹스 등에 탐닉하는 것도 중격의지핵의 도파민 분비와 ... ...
[천문]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에 호랑이 줄무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위성 엔셀라두스에서 호랑이 줄무늬가
발견
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8월 18일 토성탐사선 카시니가 찍은 엔셀라두스의 고해상도 사진을 공개했다.엔셀라두스는 지름이 달의 7분의 1밖에 안 되지만, 메탄과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같은 유기물을 포함한 옅은 대기가 있어 생명체가 존재할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채 연구위원은 국조오례서례에 포함된 신기전의 설계도가 ‘로켓’이라는 점을
발견
하고 이를 세상에 알린 인물. 그의 노력 덕분에 신기전 최초의 설계도는 세계우주항공학회(IAF)를 통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로켓 설계도로 공인받았다.영화 제작팀은 이처럼 모든 시대적 상황에 대해 철저한 ...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길 연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형성하고 224.1℃를 넘으면 다시 무질서해진다. 김 단장은 “이처럼 새로운 특성을
발견
한 것을 비롯해 지금까지 블록공중합체 연구에 많은 진전이 있었다”면서도 “블록공중합체 점성을 비롯한 물성을 예측하는 이론이 아직 나와 있지 않은 상태”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연구단이 도전해야할 과제 ... ...
[물리]변압기가 작동하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1820년 덴마크의 물리학자 한스 외르스테드는 전도전류가 자침을 움직이게 하는 현상을
발견
했다. 영국의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는 여기서 더 나아가 자기장의 변화가 전류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렇게 전류와 자기장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현상을 전자기유도라 한다. 폐회로 ... ...
이전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