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너를 위한 이야기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어떤 방향에도 우열이 없는 줄을 안다. 늘 대비를 한다. 인류의 유전자는 분리를 택한 뒤에도 다시 실험을 해 우리를 만들었다. 이곳에서도 유전자는 다시 실험을 해 너희들을 만들었다.유전자는 배움을 기록한다. 우리는 기호를 만들고 몸짓을 만들었다. 언어가 생겨나자 아이들은 말을 익히는 ... ...
- 내 생애 마지막 휴대폰 - 폰관리 피부관리보다 힘들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사람은 별로 없다.그러나 소비자를 반하게 했던, 이른 바 ‘生폰’의 멋은 두툼한 케이스 뒤로 사라져버렸다. 개발자들이 창조한 그립감은 포장을 뜯던 날 이후맛본 기억이 없다. 이럴 바엔 차라리 처음 만들 때 좀 더 튼튼하게 만들면 되지 않았을까. 튼튼하고, 흠집에 강하고, 볼수록 멋스럽고, ... ...
- 레이저로 나로과학위성을 잡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방향을 정확하게 측정했다고 발표했어요. SLR은 지상에서 위성체에 레이저를 발사한뒤, 반사된 레이저가 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위성체의 위치를 찾는 장비랍니다. 개발팀은 이 장비로 지난달 12일 저녁에 한반도 상공을 지나는 나로과학위성의 위치를 추적해냈지요. 이 SLR 장비는 우리나라 ... ...
- 개미도 직업을 바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정확히 언제 어떤 식으로 역할이 바뀌는 거야?태어나서 몇 개월이면 양육! 며칠 뒤면 청소! 하는 식으로 역할이 바뀌는 나이가 정해져 있지는 않아요. 또 매우 늙은 양육 개미나 엄청 어린 수렵 개미가 있기도 하지요. 자연 상태의 개미집이나 왕개미가 아닌 다른 종류의 개미에서도 이런 현상이 ... ...
- 학문의 즐거움을 설파한 히로나카 헤이스케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대한 경험과 호기심을 가진 덕에 어느 정도의 성취를 했노라고 말한바 있다. 그의 뒤를 이어 일본에서 세 번째로 필즈상을 수상한 모리 시게후미를 평하면서는, 두말이 필요 없는 천재라고 했다. 그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지만, 그가 사유와 즐거움의 대상으로 수학을 본 것은 사실인 ... ...
- 가게 명당, 통계로 찾는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약국 등이 생활용품을 사는 곳이에요.이에 반해 선호품은 여러 가게에서 상품을 비교한 뒤 구매해요. 우리가 옷을 살 때 백화점이나 쇼핑몰에 가서 사잖아요? 이처럼 거리가 조금 멀어도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특정 장소로 사러 가는 상품을 선호품이라고 해요. 선호품을 사는 곳으로는 백화점, ...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전문 작가 로버트 랭 박사다.“저는 6살 때 처음 오리가미★를 시작했습니다. 그 뒤로 오리가미와 사랑에 빠져 지금까지 함께하고 있고요. 사실 저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에서 근무했던 물리학자였어요. 그러다가 오리가미를 활용해 본격적으로 과학과 예술의 만남을 표현하고 싶어 ... ...
- [수학뉴스] 1/2은 피자 반 판! 실생활 예시를 꾸준히 가르쳐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발표한 것이다.오사나 교수는 5~6학년 학생 70명을 모아 두 그룹으로 나눈 뒤 3주간 실험을 했다. 한 그룹에게는 분수의 의미를 보여 주는 실생활의 예를 지속적으로 가르쳐 줬다. 반면 다른 한 그룹은 첫 수업에서만 예시를 설명하고, 나머지 시간은 숫자만으로 진행했다.3주 후 학생들을 비교해 보니, ... ...
- 미스터리 수학! 펜로즈 계단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이 도형은 ‘ㅁ’자 모양의 입체도형과 ‘ㅗ’자 모양의 입체도형을 각각 반으로 자른 뒤, 두 도형의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을 바꾸어 붙인 것이다. 이 도형은 2차원에서만 구현 가능하며, 3차원에서는 끊어진 형태로만 나타낼 수 있다.한편 우리는 실험1을 통해서 하나로 이어진 펜로즈 계단을 ... ...
- 수학 실력과 재미, 독서로 잡는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나눠 찬성과 반대를 하는 이유를 찾기 시작했다. 먼저 각자 한 가지 이상 이유를 찾은 뒤, 친구들과 토론을 하며 가장 합당한 이유 세 가지를 추려냈다. 그리고 각 조에서 입론과 반박, 최종변론을 할 학생 세 명을 뽑았다. 발표자가 토론을 진행하는 동안 나머지 학생들은 상대편의 주장에 반박할 ... ...
이전5865875885895905915925935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