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뉴스
"
전
"(으)로 총 24,95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다의 작은 소용돌이가 일으키는 '나비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9
기후 등 해양 순환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SWOT 위성이
전
세계 해양 관측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며 "준중규모 해양 역학은 지구 기후 시스템의 중요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86-025-08722- ... ...
로봇개와 함께 달려볼까…주말 대
전
서 즐기는 기상천외한 과학 체험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물빛광장을 인조 잔디로 꾸며 가족 단위 방문객이 쉴 수 있는 피크닉존을 운영한다. 대
전
대표 맛집 10곳과 15대의 지역 푸드트럭이 참여하는 'D-FOOD 유니버스'도 함께 운영된다. 자세한 일정과 프로그램은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 소개 페이지(scienceall.com/cms/content/view/842)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세계 경작지 15%가 비소·카드뮴·납 등 중금속에 오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아직 위험성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식물이 토양에 있는 중금속을
전
부 흡수하는 것이 아니고 기후에 따라 중금속 흡수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호우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인간 활동이 지구에 깊이 각인된 것을 상징한다"며 "각국 정부가 토양 오염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할 것을 ... ...
수십조원 규모 연구용 원자로 수출 시장 종주국서 뚫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17일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미국 미주리대 차세대연구로 설계 수출 관련 간담회. 과기정통부 제공 한국이 원자력 종주국 미국에 연구용 원자로 ... 진행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의료용방사성 동위원소를 국산화하고 수출까지 이어
전
세계 동위원소 시장의 15%를 차지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 ...
'미국 빼고' 미래 감염병 대응 WHO 협약 첫 합의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 협약 합의가 이뤄지는 데 핵심적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것이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전
세계의 반응"이라고 밝혔다 ... ...
생존율 낮은 췌장암, 치료 효과 높일 '유
전
자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왼쪽부터)
전
은성 서울아산병원 의생명연구소 교수, 김송철 간담도췌외과 교수, 최정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서울아산병원 제공. ...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췌장암 환자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캔서 레터스’에 게재됐다 ... ...
기후 변화,
전
세계 혈액 공급도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하며 혈액이 부족할 때 울리는 조기 경보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새로운 혈액 공급
전
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연구팀은 “기존 연구들은 기후 변화와 건강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했다”며 “이번 연구는 기후 변화가 혈액 보관, 유통 등에 미치는 위험까지 살펴 기후 변화가 미칠 영향에 대한 ... ...
"주사 대신 알약"…꿈의 비만약 '위고비' 먹는 약으로 진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구조 생물학 기술의 진보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2017년 극저온
전
자현미경으로 GLP-1 수용체의 3차원(3D) 분자 구조가 밝혀지면서 컴퓨터 모델링을 통한 약물 결합 예측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실험실에서 수천 개의 화합물을 일일이 합성하지 않고도 가능성 있는 후보를 선별할 ... ...
하버드대 로봇벌, 각다귀에게 우아한 착륙법 배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연구의 공동 제1 저자인 현낙승 미국 퍼듀대 교수는 "비행체의 성공적인 착륙은 충돌
전
표면에 접근하는 속도를 최소화하고 충돌 후 에너지를 빠르게 소멸시키는 데 달려 있다"고 말했다. 현 교수는 연구가 진행될 당시 하버드대 마이크로로봇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이었다. 연구팀은 각다귀처럼 긴 ... ...
국내 원자력 기술, 종주국 미국에 첫 수출 '쾌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원자력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 글로벌 원자력 기술을 선도하고 미래성장동력으로 발
전
시켜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은 "이번 사업 수주는 세계 유일의 고성능 연구로 핵연료 기술과 높은 설계 능력 등 연구원이 쌓아온 독보적인 기술력과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