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작업일"(으)로 총 3,207건 검색되었습니다.
- 8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강태교·한성호 동아사이언스 l2023.08.07
- 강태교 한국전력기술㈜ 실장(왼쪽)과 한성호 ㈜에스엘엠 연구소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국내 최초로 일체형 원자로 상부구조물 설계기술을 개발한 강태교 한국전력기술 실장과 선체 부착생물 제거용 수중 선체 청소로봇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한 한성호 에스엘엠 연구소장이 대한민국 엔지 ... ...
- 300평 '스마트 팩토리'에서 제조공정 혁신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08.05
- 조영태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전공 교수와 학생들. 과학동아 제공 지난 7월 11일 국립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전공(학부)과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대학원)이 있는 82동에 들어가자 입이 ‘떡’ 벌어지는 규모의 스마트 팩토리가 보였다. 면적이 1000m2에 달하는 스마트 팩토리는 나노공정실, 로봇 ... ...
- "유방 X선 영상 AI 판독, 유방암 진단율 20%↑"연합뉴스 l2023.08.03
- 연합뉴스 제공 유방 X선 영상을 두 명의 영상전문의가 판독할 때 한 명을 AI(인공지능)로 대체하면 유방암 진단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룬드(Lund) 대학 의대의 크리스티나 랑 진단영상학 교수 연구팀은 유방 X선 영상을 판독하는 두 명의 영상전문의 중 한 명을 AI로 대체 ... ...
- 해안가 부촌 어쩌나…"기후변화로 파도 높아져"동아사이언스 l2023.08.02
- 캘리포니아 사우스 라구나 해변에 늘어선 비치하우스들. 위키미디어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주 해안선에는 호화주택들이 늘어서 있다. 집에서 바다 전망을 보고 테라스에선 찰랑거리는 파도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 낭만적인 공간이 기후 변화로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 ... ...
- 암흑물질 사냥 '유클리드 망원경' 첫 관측 이미지 공개동아사이언스 l2023.08.01
- 유클리드 망원경이 관측한 첫 사진. ESA 제공 우주 속 암흑물질의 비밀을 풀기 위해 지난달 1일(현지시간) 발사된 유클리드 망원경이 첫 관측 이미지를 지구로 보냈다. 유럽우주국(ESA)은 유클리드 망원경이 관측한 첫 테스트 이미지 2개를 7월 31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망원경에 장착된 주요 관측 ... ...
- 펜·잉크로 로봇 움직인다…"다단계 로켓 움직임도 설계"동아사이언스 l2023.08.01
- (왼쪽부터) 송서우 스탠포드대 박사, 이수민 서울대 박사, 권성훈 서울대 교수, 김지윤 UNIST 교수. 서울대 제공. 펜과 잉크를 이용해 수면 위에서 로봇이 움직이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서울대는 1일 권성훈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김지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송서우 스탠 ... ...
- 측우기, 세종대왕이 만든 게 아니었다?…과학업적 재조명2023.07.29
- 세종대왕은 32년의 재위기간(1418~1450) 동안 무수히 많은 업적을 남겼다. 과학동아 제공 조선의 4대 임금인 세종은 태종의 셋째 아들로 1418년, 22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그는 32년의 재위기간(1418~1450) 동안 한글을 창제하는 등 ‘대왕’이라는 칭호가 붙을 정도로 많은 업적을 남겼는데 그중에는 과학 분 ... ...
- [주말N수학] 천재는 신화일 뿐…'러셀의 역설'과 좌절2023.07.29
- 최정담 그림. 수학동아 제공 ● 역설을 타파할 회심의 해결책 1901년 버트런드 러셀은 독일 수학자 게오르그 칸토어의 집합론에서 훗날 '러셀의 역설’이라 불릴 내용을 발견했습니다. 이내 칸토어의 집합론을 토대로 한 모든 수학적 성과가 무너져내렸지요. 이로써 러셀이 집필 중인 '수학 원리' ... ...
- [과기원NOW] 임재환 KAIST 교수팀, 국내 최초 국제로보틱스학회 논문상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3.07.28
- 장영태 포스텍 화학과·융합대학원 교수(왼쪽)와 강남영 IT융합공학과 교수. 포스텍 제공. ■ KAIST는 임재환 김재철AI대학원 교수팀이 국제학회 ‘로보틱스: 과학 및 시스템학회(RSS)’에서 국내 최초로 ‘최고 시스템 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RSS는 로봇 공학 및 로봇 학습 분야 최신 연구 ... ...
- 물리학 난제 '상온 초전도체' 구현 한국 연구팀 논문…학계 '회의적'동아사이언스 l2023.07.28
- 2020년 미국 로체스터대 연구팀이 상온 15도에서 초전도 현상을 구현했다고 주장한 초전도체. 미국 로체스터대 제공 한국 연구진이 공개한 상온 초전도체 논문을 두고 학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특정 온도 이하에서만 전기저항을 잃는 초전도체가 상온에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면 물리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