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전
뉴스
"
원자력발전소
"(으)로 총 765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硏 상임감사에 탈핵운동가 내정설 시끌…반대 국민청원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5.17
원전 수출이 가능하겠느냐는 내용들이다. 서 위원은 환경운동연합에서 활동하며
원자력발전소
인근 수산물·토양의 방사능 오염 의혹을 제기하는 등 줄곧 탈핵을 주장해왔던 인물이다. 사진 출처 한국원자력연구원 상임감사의 영향력이 큰 만큼 무역학을 전공한 서 위원의 전문성에 대한 논란도 ... ...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연구 재개 결정…계속되는 ‘반쪽짜리 공론화’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8.05.01
재검토위 권고 받아들여 2020년까지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 개발 재개 정부가
원자력발전소
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 재활용하는 기술인 파이로프로세싱과 소듐냉각고속로(SFR) 연구개발을 재개하기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올해 3월 사업재검토위원회가 내놓은 권고 사항을 받아들이기로 한 ... ...
“혁신 신소재를 찾아라”… 주목받는 ‘극한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토카막 방식 핵융합로의 내부. 열차단 타일이 시공돼 있다. - 국가핵융합연구소 제공 수천 도 이상의 고열을 견딜 수 있는 특수소재, 수만 기압 이상의 압력을 낼 수 있는 특수실험시설. 절대영도(영하 273.15도)에 가까운 초저온 냉각기술. 일상에서는 도저히 존재할 수 없는 ‘극한의 환경’이 과 ... ...
“탈(脫)원전 해도 원전, 사용후핵연료 방재기술 연구는 계속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3.01
이야기 하고 있다. -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면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
뿐만 아니라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한 곳에서도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원전을 없애자는 논의와는 별개로 원전과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에 대한 방재(防災) 기술 확보가 중요합니다 ... ...
새벽 포항 규모 4.6강진발생…주민피해 20여건, 원전은 이상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2.11
대비해 현재 운영 중인 흥해실내체육관 외에 추가 대피소도 물색하고 있다. 한편
원자력발전소
나 포항 인근 공장에선 큰 피해가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이날 지진발생 2분뒤인 오전 5시25분께 문자메시지를 통해 "이번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없으며 모든 시설은 정상적으로 ... ...
原電 해킹 원천봉쇄… 단방향 데이터 전송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3
송수신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상황을 확인하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원자력발전소
는 외부 인터넷과 연결이 완전히 차단돼 있다. 외부에서 인터넷으로 제어하면 작업자의 안전성도 높일 수 있고 작업 효율도 높일 수 있지만 해킹 우려가 있어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 ...
‘반쪽짜리 공론화’ 된 사용후핵연료 재처리사업 재검토
동아사이언스
l
2018.01.11
나오면 종합 의견서 형태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수력원자력 고리
원자력발전소
전경. 고리 1호기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 추진에 따라 지난해 6월 가동 40년 만에 영구정지됐다. -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 근본 문제는 사용후핵연료 처리 방식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 ... ...
신고리 5·6호기 건설 공론화, 인간배아 유전자 교정 성공…올해 달군 국내 과기계 10대 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7
반영해 최종 10대 과기 뉴스를 선정했다. 과학기술 관련 사회이슈 부문에서는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5·6호기 건설 재개 여부 공론화 △가상화폐(비트코인), 블록체인 기술 급부상 △살충제 계란·여성용품 발암 논란 등 커진 화학약품 불신 △경북 포항에서 리히터 규모 5.4 지진 발생 등 4건이 ... ...
탈원전 기조 따라 원자력 R&D도 안전·해체기술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고리
원자력발전소
의 모습. 고리원전 1호기는 2017년 6월 18일 영구정지됐다.- Flickr 제공 정부가 탈(脫)원전 기조에 맞춰 국가 원자력 연구개발(R&D)도 미래형 원전 기술 중심에서 원전 안전·해체 기술 중심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원전 안전·해체 기술 개발 예산은 올해 600억 원에서 내년 687억 ... ...
지진 대비하려면 ‘해저 단층’ 파악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7.11.24
2025년 이후로도 운영될 예정이었다. 존슨 연구원은 “2015년 해저 단층 정보가 공개된 뒤
원자력발전소
운영 중지 요구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포항 지진 이후 한국도 해저 단층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번 포항 지진이 발생한 지역에서 새롭게 발견된 단층 또한 해안 가까이에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