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255건 검색되었습니다.
면역체계 활용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찬혁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6.07
면역치료는 지난 10년간 항암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치료분야로 자리매김했으며 그
원리
가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확대 적용될 것으로 확신한다”며 “이번 연구로 고통받는 환자들과 가족들에게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 ...
"시민들이 만든 과학 데이터, 논문은 물론 정책까지 활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6.06
않고 사장되는 경우가 많아 늘 안타까웠다. 우리나라의 시민과학 프로그램에서도 FAIR
원리
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두 번째 배울 점은 시민과학의 확산 방법으로 도서관의 역할이 각광받고 있는 점이다. 시민과학과 도서관의 결합은 양측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 ...
'뇌 주름 모양'이 뇌 성능에 큰 영향 미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01
이 전류의 흐름은 뇌 주름의 모양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원리
를 종의 모양에 따라 소리의 파동이 변화하는 것에 빗댔다.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일부 연구자들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데이비드 반 에센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이 연구에선 대뇌 피질의 ... ...
암세포 증식
원리
, 새로운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30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세포막에 있는 칼슘채널 단백질인 ‘Orail’의 신호전달
원리
가 암세포의 엔토시스 유도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단백질 ‘Orai1’이 침입 암세포와 포식 암세포에서 세포골격 단백질 중 하나인 셉틴(septin)에 의해 세포막의 특정 부위에만 ... ...
후쿠시마 시찰단 "필요한 현장은 확인하고 자료 요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9
현장 점검 첫날인 지난 23일에는 오염수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ALPS의 핵종별 제거
원리
를 확인하고 그간의 설비 고장사례와 조치현황을 살폈다. 특히 ALPS와 관련해선 처리 전후 오염수의 농도를 분석한 데이터와 고장이력에 대한 별도의 자료를 제공받았다고 시찰단은 설명했다. 이어 ... ...
[씨즈더퓨쳐] 5년 후 핵융합 발전 상용화?...MS의 당찬 '베팅'
2023.05.28
중수소, 삼중 수소 등을 넣고 강력한 레이저를 쏘면 내부가 고온, 고압 상태가 되는
원리
를 이용하는 식이다. 또 마이크로소프트와 계약한 헬리온 에너지처럼 일부에서는 두 방법을 섞은 ‘FRC’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 FRC 방식은 원통 모양 기계 양쪽에서 플라스마를 가열한 뒤 가운데 쪽으로 쏘아 ... ...
코로나 감염 후각상실 치료할 수 있을까...섬모세포 손상 원인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5.25
확인됐다.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섬모 손상 보고는 많으나 감염세포의 섬모가 손상되는
원리
나 섬모의 신호전달 이상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사람의 섬모세포에 침투한 후 세포 내부에서 숙주세포의 자원을 이용해 바이러스 유전자와 단백질을 만든다. ... ...
퇴행성관절염, 항체치료제로 초기에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1
치료하는 항체치료제의
원리
를 나타낸 모식도.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퇴행성관절염을 유발하는 신규 수용체의 존재를 규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항체치료제 개발에 성공했다. 그간 관절주사에 의존했던 기존 퇴행성관절염 치료에 새 단서를 제시했다는 평가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 소자 내 과열 해결방법 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19
계면(SEI) 층의 나노구조와 성능 향상
원리
를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밝혀진
원리
는 리튬금속전지 상용화를 위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리튬 금속 및 고체전해질 계면층 분석을 위해 극저온 투과전자현미경분석법을 활용했다. 이 기술은 소재를 약 영하 175도의 극저온 ... ...
“폭발위험 없고 고용량‧고출력”…레독스전지 성능 혁신 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16
도입해 하이드로트로프 전해질이 레독스 활성물질의 용해도를 높이는 물리화학적
원리
를 규명했다. 하이드로트로프의 작용 메커니즘이 활성물질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각 메커니즘에 최적화된 분자구조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오버하우저 효과는 서로 다른 분자에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