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성균관"(으)로 총 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래핀’ 한계 뛰어넘을 신소재 대면적 합성 첫 성공2016.05.03
- 개발했다. 강상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진공기술센터 책임연구원 팀과 김태성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팀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350도 이하에서 이차원 이황화몰리브덴(MoS₂)을 대(大)면적으로 합성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이차원 이황화몰리브덴은 기존 반도체의 ... ...
- 韓 연구진 주도 우주망원경, 28일 러시아서 발사 성공 2016.04.29
- 관측하기 위한 UFFO(우주섬광관측소) 국제 공동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됐으며, 박일흥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이 책임을 맡고 있다. 하루에 2, 3번 수초에서 수분 동안 분출되는 감마선의 폭발을 관찰하면 현재 알려진 것보다 더 오래 전 우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UFFO-패스파인더는 러시아 ... ...
- ‘살찌는 체질’ 결정하는 유전자 찾았다2016.04.15
- 결핍시킨 쥐(오른쪽)는 정상 쥐(왼쪽)에 비해 몸집도 작고, 지방세포의 크기도 작다. - 성균관대 제공 성체가 된 쥐의 유전자를 조작해 이 신호전달물질을 줄였더니 정상 쥐에 비해 몸집이 작아졌고 지방 조직의 양도 절반 이하가 됐다. 또 비만으로 인한 당뇨병, 고지혈증 등 각종 대사질환에 관련된 ... ...
- 환경오염 일산화탄소로 휘발유, 경유 만든다2016.04.11
- 생산하는 기술로 유가 상승과 지구온난화 대비에 큰 보탬이 될 기술로 보인다. 배종욱 성균관대 교수팀은 ‘피셔-트롭쉬 합성공정용 다공성 코발트 혼합산화물 촉매합성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피셔-트롭쉬 합성공정 기술은 수소와 일산화탄소가 섞여 있는 혼합가스로 ... ...
- 초미세 물방울 증발하는 0.3초 찰나의 순간 포착2016.04.08
- 작은 물방울이 증발하는 찰나의 순간을 동영상으로 담는 데 처음 성공했다. 원병묵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부피가 240펨토리터(fL·1fL는 1000조분의 1L)인 물방울이 0.3초 동안 증발하는 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진은 포항가속기연구소가 보유한 초고속 X선 나노영상 ... ...
- 리튬이온 배터리 용량 5배 ↑ 기술 개발2016.03.22
- 삼성전자종합기술원 소재연구센터 연구원과 김지만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 김한수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정밀한 나노구조를 갖춘 몰리브덴산화물을 이용해 음극을 만들면 전지 용량을 최대 5배까지 높일 수 있다고 22일 밝혔다. 음극을 ... ...
- 머리카락 두께 10만 분의 1, 차세대 웨어러블 소자 개발2016.03.16
- 연구진이 개발했다. 조병진 재료연구소 표면기술연구본부 선임연구원 팀은 인하대, 성균관대, 미국 라이스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머리카락 지름의 10만 분의 1 정도로 매우 얇은 초박막 비금속 트랜지스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존의 웨어러블 컴퓨터 소재는 주로 금속으로 ... ...
- [단독]생명과학-SW 뜨고… 수학-건축 지고동아일보 l2016.03.14
- 8.24 대 1에서 2016학년도 10.26 대 1로 오르며 서울대 자연계열 전 학과 중 가장 높았다.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엔지니어링학과는 개설 2년째인 신생 학과지만 2016학년도 64.69 대 1이라는 독보적인 수시 경쟁률을 기록했다. 2위는 SW학과(44.2 대 1)였다. 연세대는 컴퓨터과학과, 한양대는 화학공학과, ... ...
- 자연계 최고로 단단한 소라껍데기의 비결은2016.02.18
- 달라지는 경계면이 균열을 저지하는 역할(오른쪽 아래)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성균관대 제공 연구진은 소라껍데기의 특별한 결정 구조에 주목했다. 소라껍데기는 나노 수준의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열된 탄산칼슘 결정이 층층이 쌓여있다. 층과 층 사이의 경계에는 결정의 배열 방향이 ... ...
- 그래핀 저항 4분의 1로 낮춰 드립니다2016.02.15
- 금속이 맞닿는 부위에서 저항이 높게 발생해 전자 제품 등에 활용이 어려웠다. 박진홍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팀은 도핑기술과 그래핀 디자인 변형을 통해 그래핀과 금속 사이 저항을 4분의 1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전기 저항이 낮은 그래핀과 전기 저항이 높은 금속이 맞닿을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