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식
일반생각
뉴스
"
보통생각
"(으)로 총 1,16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2018.05.14
장미는 어떻게 꽃의 여왕이 되었나 - 사진 GIB 제공 여름의 마지막 장미(The Last Rose of Summer) 여기 홀로 피어있는 건 여름의 마지막 장미 다정한 친구들은 모두 시들어 사라졌네 얼굴의 홍조를 비춰주거나 탄식을 나눌 동족의 꽃이 보이지 않고 가까이에 장 ... ...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
2018.05.12
왜 나는 나에게 제일 못되게 굴까?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자애로운 사람을 한번 떠올려보자. 그는 누군가가 힘들 때 “지금 네가 많이 힘들구나. 네가 힘드니 내 마음이 아프다. 내가 뭔가 해줄 수 있는 일이 없겠니?”라고 물을 것이다. 잘잘못에 대한 판단은 그 다음이다. 지쳐 쓰러져 있는 사람을 일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궁극의 웨어러블 로봇 가능할까… ‘아이언맨’
동아사이언스
l
2018.05.08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 ⑧ 궁극의 웨어러블 로봇 가능할까… ‘아이언맨’ 아이언맨 슈트는 수십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주인공 토니 스타크가 웨어러블 로봇을 바꿔 입으면 능력도 달라진다. -출처: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육체적으로는 아무런 능력도 없는 그저 평범한 인간. 그러나 그는 자 ... ...
[스타트업 성공의 가설]네이버 대신 편지 선택한 P2P 투자, 8퍼센트
2018.05.07
"누구나 자신만의 가설을 가지고 창업에 나선다. 창업은 그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 성공한 가설도, 실패한 가설도 스타트업 성장의 자양분이 된다. 각자의 영역에서 성공한 스타트업은 어떤 가설을 어떻게 검증해 왔을까. 멋진 스타트업 사례를 통해 알아본다. 이른바 '스타트업 성공의 가설'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 지나치게 통제하는 부모의 공통점
2018.05.05
왜 어떤 부모들은 양육=통제라고 생각하는 걸까? 심한 경우이긴 하지만 자녀가 평소보다 집에10분 정도 늦게 왔다고 혼내거나 단지 이성 친구와 대화를 나누었다는 이유로 불같이 화를 내는 등의 경우들을 본 적이 있다. 자녀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부모들의 자녀는 그렇지 않은 부 ... ...
문어처럼 유연한 스위스 모델
팝뉴스
l
2018.04.29
팝뉴스 제공 위 사진은 해외 네티즌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들며 화제가 되었다. 한 여성이 미소를 짓고 있는데, 어떤 자세인지 잠시 헷갈리게 된다고 말하는 네티즌들이 적지 않다. 허리를 180도 돌린 것인가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그것은 사람으로서는 불가능하다. 다리의 유연성을 자랑하는 사진일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가슴 속에 묵은 한(恨)의 심리학
2018.04.29
그 일만 생각하면 분통이 터져서 견딜 수 없습니다. 밤에도 자다가 벌떡 일어나게 됩니다. 시원하게 복수하고 싶습니다. 아예 확 죽여버리고 싶습니다. 아니면 경찰에 고소하여 엄청난 배상을 받아내는 상상도 합니다. 가슴이 꼭 죄이도록 고통스럽다가, 금새 통쾌한 기분이 듭니다. 절대 잊지 않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
2018.04.28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에 대해서도 ‘이게 다 네가 노력하지 않아서’, ‘네 능력이 나빠서’그런 거라며 개개인의 노력과 능력을 나무라는 이야기들을 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미 높은 지위와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이런 말을 하는 건, 본인의 지위가 불공정의 산물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호흡이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 GIB 제공 호흡명상은 산란한 마음을 한 곳에 집중시키는 것이 특징이며 불안과 긴장을 이완시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 장현갑, ‘호흡명상’ 프로그램에서 가만히 앉아있다가 천천히 걷기 시작하면 산소 소모량이 세 배로 늘어난다. 만일 호흡량이 빨리 늘어나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
2018.04.21
꼭 행복해지고 싶다는 이야기를 흔히 들을 수 있다. 물론 행복은 좋은 것이다. 하지만 강박적으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조금 얘기가 다르다. 언제 어떤 상황에서도 꼭 행복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되려 행복에 독이 될 수 있다는 발견이 있었다. GIB 제공 간절함이 독이 될 때 성적을 중요하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