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1,00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Rn]6d(1)7s(2)다. 5f 오비탈보다 6d 오비탈에 먼저 전자가 채워진다.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바깥
쪽 오비탈의 에너지 차이가 미미해지기 때문에 이처럼 마델룽 규칙을 벗어나는 배치가 나오는 것이다. f 오비탈에 전자가 없는 란타넘(La)과 악티늄(Ac)을 f 블록에 넣는 건 이상한 데다, 이들 원소의 d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고리의 질량도 알아냈다. 그랜드 피날레 이전의 카시니 궤도는 A고리(주요 고리 중 가장
바깥
쪽 고리) 밖이었기 때문에 중력을 측정하면 토성의 적도 부분과 고리의 영향이 섞인 결과만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고리 안쪽으로 진입하면서 토성 자체와 고리의 중력 효과를 구별할 수 있게 된 ... ...
[표지로 읽는 과학]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외계 신호'를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6
강해 사람 눈에는 보이지 않고, 전파망원경으로만 관측이 가능하다. FRB는 우리은하
바깥
의 먼 우주로부터 온다. 하지만 아직까지 FRB가 어디에서 왜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미스터리다. 지금까지 FRB는 1.4GHz(기가헤르츠) 정도 주파수 대역에서 주로 발견됐다. 과학자들은 천체끼리 또는 성운끼리 ... ...
"초미세먼지, 날 풀리면 더 위험…정신질환 응급입원 증가"
2019.02.11
증가하는 경향과 같은 맥락이라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평소 이 연령대가 노인보다
바깥
활동 시간이 더 긴 만큼 정신질환에 미치는 초미세먼지의 영향도 클 것이라는 추론이다. 외국에서도 초미세먼지가 정신질환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바 있다. 스웨덴 우메아(Umea)대학 연구팀은 ... ...
태아별에서 생명 근원 ‘유기물’ 분자 첫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그림. 폭발적으로 밝아지는 상태에 있는 V883 Ori에서는 원반이 데워져 스노우 라인이
바깥
쪽으로 밀려난다. 따라서 넓은 영역에서 얼음에 갇혀있던 다양한 분자들이 기체상태로 승화한다. -사진 제공 ... ...
화웨이도 폴더블폰 24일 공개…5G·폴더블폰 경쟁 격화
2019.02.06
보면 두께가 슬림한 형태의 폴더블폰을 확인할 수 있다. 안으로 접히는 인폴딩 방식이며,
바깥
면에도 디스플레이가 달려 접은 상태에서도 일반 스마트폰처럼 활용할 수 있다.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겨울나기…숨을 죽이다
2019.02.06
맞춰 크기를 줄여가며 적응할 수밖에 없었다. 대왕박각시 번데기 제 3배마디 숨구멍
바깥
면 대왕박각시 제 3배마디 숨구멍 안쪽 면 한 겨울에 은밀하게 몸을 숨기고 목숨을 보존하고 있는 곤충의 호흡은 더욱 특별하다. 월동 중이거나 휴면 중인 곤충은 숨죽인 채 버티고 있으므로 산소 요구량이 ... ...
[주말N수학] 새로운 도형의 등장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
수학동아
l
2019.02.02
널리 알려졌습니다. 1. 사면체 6개로 이뤄진 대표적인 칼레이도사이클로, 안쪽에서
바깥
쪽으로 사면체들이 뒤집힌다. 2. 사면체 12개로 이뤄진 칼레이도사이클은 안팎을 뒤집는 것 외에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해 모양이 흐트러지기 쉽다. 홍아름 기자 칼레이도사이클은 사면체 개수에 따라 모양이 ... ...
“잠 모자라면 치매 빨리 온다”
2019.01.25
2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잠을 자지 않은 쥐와 잠을 잔 쥐를 대상으로 뇌
바깥
을 흐르는 체액인 뇌간질액(ISF) 속 타우 농도를 측정했다. 쥐에게 자극을 줘 잠을 자지 못하게 하자 평소 활동할 때보다 2배 수준의 타우 단백질이 분출됐다. 연구팀은 같은 원리로 사람을 대상으로도 실험했다. ... ...
'백신접종은 反자연주의' 그릇된 신념이 홍역이라는 유령을 되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이용해 자기 RNA를 복제하고, 외피를 만들어 새로운 바이러스 개체를 조립한 뒤 세포
바깥
으로 내보낸다. 보통은 숙주 세포 안에서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동안 돌연변이가 나타난다. 바이러스는 어느 정도 변형을 예측할 수 있는 DNA바이러스와 예측 불허의 RNA바이러스로 나뉜다. 신종 플루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