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라픽
그림
그래픽스
그라픽스
grapic
컴퓨터그래픽
콤퓨타그래픽
뉴스
"
그래픽
"(으)로 총 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저 계단 끝에 귀신이 있다면?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6.08.02
소니 HMD는 사용자가 움직일 때 시야를 좀 더 좁고 흐리게 보여줘 어지럼증을 줄였다(47쪽
그래픽
뉴스 참조). 이 기술을 적용하면 VR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일반 VR에 비해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이 확연히 줄어든다. 이런 기술과 더불어 탄탄한 시나리오는 공포감을 느끼기에 충분했으나, 필요한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
동아사이언스
l
2016.08.01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표지를 목표로 화려한
그래픽
제작을 의뢰한다. 조금이라도 확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저널 ‘사이언스’의 7월 8일자에 표지논문을 게재한 박성진 미국 하버드대 바이오엔지니어학과 연구원은 “같은 논문이라도 ... ...
“코드 뽑히면 경고음… 중환자 생명유지 장치 안꺼지게”
2016.07.28
결국 처음부터 잠금 장치를 새로 만들기로 했다. 남궁 군은 건축설계용 3차원(3D)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스케치업’을 공부해 컴퓨터로 플러그와 콘센트를 디자인했다. 이 설계도를 갖고 3D프린터 업체의 도움을 받아 자물쇠를 찍어 낼 수 있었다. 남궁 군은 이런 방식으로 설계를 고쳐 가며 ... ...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하루 3시간, 20대는 4시간 9분 사용
포커스뉴스
l
2016.07.26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하루 사용시간은 3시간이며 사용시간이 가장 긴 세대는 20대로 4시간 9분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모바일 시장조사 업체 ... 표본조사로 실시됐으며 95% 신뢰수준에서 오차범위 ±0.82%다. 마트폰 사용조사 결과 인포
그래픽
- 와이즈앱, 포커스뉴스 제공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잘 따라오고 있나’ 확인이라도 하듯이 멈춰 사람들을 돌아보는 모습을 보면 컴퓨터
그래픽
(CG)효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아무튼 당시 다큐멘터리에서 본 장면은 필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학술지 ‘사이언스’ 7월 22일자에는 꿀잡이새와 사람의 벌집털이가 상호 의사소통에 ... ...
규제 없는 시장이 열대바다 물고기 씨 말리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제공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열대 바다 속 생태계를 그린 화려한
그래픽
이 실렸다. 호주 제임스쿡대 사회과학과 조슈아 시너 교수팀을 비롯한 39명의 국제공동연구진은 전 세계 산호초 지대를 조사해 어류시장 크게 형성된 지역일수록 물고기 양이 적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네이처’ 2 ... ...
새 ‘단백질 구조’ 설계… 신개념 약물전달물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프리즘 만화경 속을 들여다보는 듯 형형색색의 대칭 패턴이 장식했다. 이 화려한
그래픽
의 정체는 단백질 나노구조체다. 2가지 종류의 단위 단백질 60개씩 총 120개가 이십면체를 이루고 있다. 바이러스 유전물질을 캡슐처럼 감싸 전달하는 ‘캡시드 단백질’을 모방해 만들었다. 미국 워싱턴대 ... ...
[궁금한 이슈 why] 이름도 들어본 적 없는 ARM이란 회사가 35조원이라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6.07.19
들어가 있습니다. 태블릿 등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85%에 ARM 기반 칩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래픽
처리 반도체 (GPU), 차량용 반도체, 컴퓨터 서버용 반도체 등에도 ARM의 기술이 들어갑니다. 2015년 기준 ARM 칩이 들어 있는 기기는 150억 대에 이릅니다. 올해 1분기에만 41억 개의 ARM 기반 칩이 출하됐습니다. ... ...
‘포켓몬 go’ 열풍과 우리 아이 교육에는 연결고리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14
’ 들어가서 세상을 보는 것이고, 증강현실은 세상도 그대로인데 현실공간에 가상의
그래픽
정보를 덧 씌워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포켓몬 go'는 이런 구분에 있어 증강현실(AR)을 기반으로 한 게임이라고 할 수 있겠죠. 아래의 이미지를 보세요. 실제 세상에 캐릭터가 나타났죠. ... ...
당신이 포켓몬 GO에 대해 몰랐던 6가지
2016.07.14
들어가 시청각적 경험을 하는 기술이라면, AR은 현실의 사물이나 배경에 관련 정보를 3D
그래픽
으로 표기해주거나, 새로운 물체를 나타나게 하는 방식이죠. 게임에 적용할 경우 현실감과 몰입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2014년 구글과 닌텐도의 만우절 이벤트였던 구글맵:포켓몬 챌린지 서비스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