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국제통화기금
기금
통화
뉴스
"
국제학술대회
"(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츠하이머병 쉽게 진단할 뇌 영상 기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8
이종호 서울대 교수팀이 영상화한 뇌 속 정량적인 철분의 분포(왼쪽)와 지질의 분포(오른쪽). 밝게 보이는 부분이 각각 철분과 지질에 해당한다. - 서울대 공대 제공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의 진단 지표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뇌 영상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이종호 ...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신임 회장에 유영숙 KIST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7.01.20
‘생명을 위해 협력하는 하나 된 팀(COoperative One team for Life·COOL)’을 주제로 ‘KSBMB
국제학술대회
2017’을 개최한다. 24개 세부 분야에 3000여 명의 국내외 과학자들이 참여한다. 올해는 2009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아다 요나스 이스라엘 바이츠만 과학연구소 박사와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팀 ... ...
‘만병통치약’을 퇴치하고픈 여성 과학자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30
2016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와 가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맨 왼쪽은 김두희 동아사이언스 대표, 가운데는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 WISET 제공 “젠더(성별)를 떠나 우리나라 과학계 업적을 대표할 만한 분들을 수상자로 뽑았습니다.” 27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 컨벤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
2016.12.26
컴퓨터를 접할 수 있게 힘을 쏟기도 했다. 2006년 베트남에서 열린 수학교육 관련
국제학술대회
에 참석했다가 교통사고를 당해 뇌에 큰 부상을 입었고 후유증으로 언어장애가 생겨 오래 재활치료를 했는데 그가 개척한 교육방법론이 적용된 프로그램이었다고 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 ...
세계 두 번째 ‘유전자 교정’ 학회 출범… “미래사회 논의할 교두보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6.12.15
14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열린 한국유전자교정학회 창립총회가 열렸다. 초대 회장으로는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이, 초대 감사로는 나도선 울산대 의대 교수가 선출됐다. 이날 창립 기념 심포지움에는 의생명과학 분야 연구자를 비롯해 인문사회학자, 바이오기업 관계자 ... ...
세계 3대 물리학회 본부 한국에 설치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4
AAPPS 본부가 설치되면 한국이 세계 물리학의 중심지로 발돋움할 가능성이 커진다.
국제학술대회
나 콘퍼런스 운영, 국제 학술지 발간, 청년 학자 지원 등을 주도하면서 세계적인 학자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17개국의 물리학회장을 비롯해 세계적인 물리학자들이 한국을 ... ...
12월 1일 세계 에이즈의 날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
과학동아
l
2016.12.01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에이즈)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라텍스 콘돔이다. 그런데 정작 유병률이 가장 높은 아프리카 여성들은 콘돔을 쓰기가 어렵다. 남성의 콘돔 사용률이 저조한 데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 콘돔 없는 위험한 성관계를 거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과학자 ... ...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2016.11.04
DNA 교정기술인 ‘크리스퍼(CRSPR/Cas9) 유전자 가위’를 최초로 개발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감염생물학과 총괄책임교수(독일 훔볼트대 명예교수). 샤르팡티에 교수는 지난달 12~14일 열린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에 기조강연 연사로 초청돼 한국을 처음 방문했다. ... ...
‘원자선’ 분야 석학… “1nm이하 무오류 반도체 개발 목표”
2016.09.08
염한웅 교수 제공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어느 순간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남들보다 더 깊이 오랫동안 연구해야 나오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유행을 좇지 않고 20년간 한 분야를 꾸준히 연구해 온 끈기에 대한 격려로 생각하겠습니다.” 인촌상 과학기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염한웅 포스텍 ... ...
방사선 피폭량 4분의 1로 줄인 CT 기술 개발
2016.08.19
‘컴퓨터단층촬영(CT)’의 방사선 피폭을 4분의 1 이하로 줄이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예종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저선량 CT로 찍은 의료 영상을 고화질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CT는 환자의 몸속 단면을 촬영할 수 있어 의료 검사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