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뉴스
"
계속
"(으)로 총 6,362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산 깎고 1주일 만에 포기 여부 정해라"…난리 난 R&D현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연구비 감액으로
계속
과제 중단을 희망하면 정당한 사유의 수행 포기로 인정하고 참여 제한 없이 올해 새 과제 신청 기회를 준다는 방침이다 ... ...
"락타아제 부족한 성인, 우유 마시면 당뇨병 위험 30% 감소"
연합뉴스
l
2024.01.23
제2형 당뇨병 위험이 30%가량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락타아제가
계속
분비되는 지속성 유전자형 성인들은 우유 섭취량과 제2형 당뇨병 위험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연구팀은 우유 섭취량과 락타아제 유전자형, 제2형 당뇨병 위험 사이의 이런 연관성을 ... ...
국내 첫 유전자가위 영상화…"체내 이동·효과 즉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바이오 소재 기술을 기초연구 분야와 접목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 성과를
계속
해서 도출해 내겠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저널 오브 컨트롤드 릴리즈’의 1월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 ...
"지구의 역사를 기록하는 시민과학자가 되어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23
기록하는 식물 데이터는 인공지능에만 쓰이는 게 아니다. 기후 위기로 지구의 온도가
계속
오르면서 식물들의 생태도 조금씩 바뀌고 있다. 연구자뿐만 아니라 시민과학자들이 탐사 기록에 동참하면 변화하는 기후에 맞춰 식물의 개화 시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지리적 분포는 어떻게 바뀌는지가 ... ...
50여 년 전에 했던 달 착륙, 지금은 왜 어려울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1.22
부품이 아닌 유럽의 위성 천위용 부품을 사용할 계획이다”라며 “앞선 실패 사례를
계속
해서 분석하며 계획을 보완해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1943)을 발견한 것을 비롯하여 네오마이신(1948) 등 항균효과를 지닌 새로운 물질을
계속
발견했다. 특히 스트렙토마이신은 그람 음성 세균에 효과를 지닌 최초의 항생제였으며 불치의 병 결핵을 치료할 수 있는 최초의 약이었다. 1949년에 러트거스대에 설립된 미생물학연구소 초대 소장으로 왁스먼이 ... ...
조성경 "모욕과 망신주기식 의혹"…학계 "1대1 토론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쇄신은 물론 맡은 바를 뚝심 있게 수행할 것"이라며 "무분별한 무책임한 의혹 제기를
계속
한다면 해당 당사자에 대해 법적 조치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17일 조 차관의 박사학위 논문 표절 등 의혹을 제기하고 나선 최태호 한국대학교수협의회 회장은 18일 MBC 시선집중과의 전화 ... ...
조성경 과기1차관 “논문표절 의혹 사실 무근…법적 조치 불가피"
동아사이언스
l
2024.01.17
건전한 비판은 환영한다"면서 "사실과 전혀 다른 무분별하고 무책임한 의혹 제기를
계속
한다면 해당 당사자에 대해 법적 조치가 불가피함을 마지막으로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 ...
불확실성 큰 혁신적 R&D,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적극 검토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된다. 다만 과도한 예산 지출을 방지하기 위해 예타 통과 후 주기적으로 사업 규모와
계속
지원 필요 여부 등을 점검한다. 또 각 예타 신청 부처는 실천 가능한 재원조달 방안을 책임지고 제시해야한다. 각 부처는 신규 가용재원 내에서 사업별 우선순위를 정하여 예타를 신청하고 예타 ... ...
뇌종양 미세환경 촬영…‘반응성 별세포’가 치료 핵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양전자를 측정해 영상을 시각화한다. 동물모델 대상 영상 촬영 결과, 종양세포는
계속
분열하기 위해 포도당을 독점하다시피 사용하고 빠르게 에너지 대사 과정을 거쳤다. 대사 과정의 부산물로 아세트산이 배출됐고 아세트산은 별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모노카복실산 수송체1(MCT1)에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