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100"(으)로 총 4,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드래곤 길들이기! - 용과(드래곤후르츠) 키우기 3탄기사 l20230622
- 이 겉가지로는 용과를 '삽목'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삽목'과 '접목' 에 대해서는 4탄에서 알아보고, 오늘은 우리 용과가 100% 성장하면 어떤 모습일지 알아보도록 하죠. 우리의 용과는 자라서 (이미지 출처: 나무위키) 이렇게 됩니다. 2탄의 이미지에도 나왔던 용과의 진짜 모습입니다. 꽃은 거대하며, 아름답 ...
- 야쿠시마의 생물들 (바다거북 탐사대 in 야쿠시마)기사 l20230620
- 바다거북이 5마리나 올라왔다고 합니다. 우리는 3분쯤 지나고 해변으로 가서 바다거북이 알을 낳는 것을 봤는데, 2~3개씩 떨어뜨려 총100~200개 정도를 낳는다고 합니다. 저는 알이 구덩이 안으로 떨어질 때 알이 깨지지 않을 까 걱정했지만, 그래도 알의 탄력을 믿었습니다. 알을 다 낳자, 바다거북은 구덩이를 덮고 앞으로 조금 가더니, 옆에 다 ...
- 성스러운 섬, 야쿠시마기사 l20230618
- 250종의 거북이 중에 바다거북은 7종 입니다. 붉은바다거북은 탐사 2일차에 볼 수 있고, 정말 운이 좋으면 그린 터틀을 볼 수 있는데 100% 중에서 99%가 붉은 바다거북이고, 고작 1%가 푸른바다거북이라고 합니다. 저는 이 사실을 알고 내일 푸른바다거북을 볼 수 있도록 기도했습니다. 붉은바다거북은 머리가 크니 산란할때 잘 살펴보라고 ...
- 바다거북 탐사대 in 야쿠시마(주말팀)기사 l20230614
- 연구원님의 마음이 느껴졌어요. 바다거북은 자기가 태어난 곳으로 다시 돌아와서 알을 낳는데 모래사장에 구덩이를 파고 한 번에 100~120개의 탁구공 크기 만한 알을 낳는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달걀(조류의 알)처럼 껍데기가 단단하지 않고 파충류는 약간 가죽같은 느낌의 알을 낳기 때문에 잘 깨지지 않습니다. 양막이 있는 동물은 조류, 파 ...
- 세포 속 각인된 고향을 찾아서! 붉은 바다거북 이야기기사 l20230614
- 찾으면 먼저 몸에 붙은 해조류 등을 씻는 클리닝 작업을 합니다. 구멍은 뒷발로만 파는데요. 약 50cm가량 파고 들어갑니다. 알은 약 100개 이상 낳습니다. 천적으로부터 알을 보호하기 위해 뒷다리로 메운 뒤 앞다리로 저어 나아가 속임수로 알이 어디 있는지 모르게 합니다. 전체 과정은 1년에 2~3번, 2주 간격으로 다시 와서 알을 낳습니다. ...
- 지사탐11기를 위한 특별한 바다거북 탐사대 in야쿠시마 (주말반)기사 l20230613
- 다리를 안으로 넣지 못합니다. 공통점은 두 거북이다 이빨이 없고 울퉁불퉁하다고 합니다. 아직 언제까지 사는지는 모르지만 100세 이상은 살것 같다고 추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산란할때 눈에서 눈물처럼 나오는 것은 소금물이고 바닷속에 있을 때도 흘린다고 합니다. 긴 시간이였지만 거북이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또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 주셨습 ...
- 넥스페리움 긱블 전시회기사 l20230612
- '한.민.규' 기자입니다. 6월동안 대구 신세계 박물관 넥스페리움에서 100만 유튜버 긱블 전시회가 열립니다. 근대!!! 6월 11일에는 긱블 멤버들이 와서 펜싸인회를 한다는데 제가 그걸 놓칠 수가 없었습니다. 폰에 싸인 ㄷㄷ 구독하러 가시고 대전로 가서 작품 한번 보시죠. 못 가실수도 있으니깐 대부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사람을 인식해 ...
- 시드러버아인 - 230529 - 1탐사기록 l20230529
- 두줄망둑크기 100mm내외연갈색 바탕에 두개의 세로 줄무늬가 있어요-바닷가 생물도감(진선아이) ...
- 가족 안전동행 소방과학 캠프!기사 l20230528
- 비율은 약30%정도 입니다. 불은 산소, 발화점, 탈 물질이 있어야합니다. 만일 이중 한가지 라도 빠지면 안 되죠. 그래서 비커에 100%산소를 모아서 100%산소에서 탈 때랑 30%산소에서 탈 때를 비교하는 실험이라는 것입니다. 지금은 산소가 100%인 비커 안에 들어가기 전의 모습입니다. (참고로, 지금 사진 ...
- 누리호 최고!기사 l20230527
- 명의 인력으로 성공한 것이 뿌듯합니다. 미국과 러시아 같은 나라는 약 20000명의 인력으로 성공한 것의 비해 우리나라는 한 분이 거의 100명의 인력의 한것 같아서 놀랍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제1의 우주발사체, 과학1호의 비해 많이 달라진 것 같습니다. 제일 큰 변화는 엔진이 화학 연료가 아니고 엑체 연료라는 점 입니다. 또 초소형 우주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