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d라이브러리
"
필자
"(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 그리드와 함께 멋진 인생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됐다. 2009년부터 본격화된 스마트 그리드 사업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이어갔다.
필자
는 초기 연구원 생활을 거친 후 지금은 경영전략실에서 근무하고 있다. 오랫동안 익숙했던 ‘엔지니어’라는 옷을 벗고 신사업 발굴, 인큐베이팅, 전사 기술전략 수립, 미래 성장 엔진 발굴이라는 다소 생소한 ... ...
에디슨의 후예들에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어렵고,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은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 의미있는 일은 더욱 찾기 어렵다.
필자
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발명왕 에디슨의 삶에서 어떤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그는 지독한 실험정신을 몸소 실천한 사람이다. 달걀을 직접 품어보고, 기차에서 신문을 팔면서 실험을 하다가 불을 내서 ... ...
최후의 1%까지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미국, 그중에서도 펜실베니아대는 세계 최초의 전기 컴퓨터인 에니악이 탄생한 곳이다.
필자
는 그곳에서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임베디드 컴퓨터 시스템 개발 방법을 연구했다. 그리고 지금은 이 분야에서 유명한 소프트웨어인 시뮬링크(Simulink)를 개발하는 매스웍스사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다. ... ...
한국적 캐릭터로 세계의 신화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성과를 거둔 업체는 미미했다.
필자
가 내놓은 게임 역시 성적이 신통치 않았다.
필자
가 시장을 내다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2005년 시장이 가장 뜨거울 때 게임 개발을 시작했지만 정작 서비스가 시작된 것은 한참 후의 일이었다. 이미 전체 게임시장에서 캐주얼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줄어들어 ... ...
뒤돌아서서 후회하는 당신에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얼마 뒤에 그만두고 말았다. 그 작가는 꼭 방송 30분 전에야 원고를 주는 스타일이었다.
필자
처럼 어떤 분야의 전문가들은 대본을 일찍 받으면 대본에만 얽매여 재미가 없어진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는 출연자가 방송 직전에 대본을 받아야만 진짜 이야기가 나온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방송 직전에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있다. 거대강입자가속기(LHC)로 대표되는 최신 연구 현황도 빠짐없이 다룬다. 외국
필자
에 밀리지 않는 필력을 선보이는 국내 저자가 탄생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여행지의 매력은 새로운 만남과 사람이다. 우연한 만남이 불러오는 낭만적이고 짜릿한 체험이 없는 여행은 심심하다. 이것은 사람의 ... ...
[Issue & Math]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을 찾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분모가 7 이상의 소수일 때 나온 모든 순환마디를 이용하면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
필자
는 몇 가지 수를 이용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계산을 해봤다. 그 결과 앞에서 보인 것과 똑같지는 않지만 방식을 조금 바꾸면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이런 경향을 보이는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CAPS)를 설립하고 토네이도를 예측하는 수치예보모델 개발에 주력해 왔다.
필자
도 이 센터 소속의 박사과정 학생으로 모델 개발에 참여한 바 있다. 대기를 지배하는 여러 방정식을 동시에 풀어 미래의 기상 변수들의 값을 바둑판 눈금처럼 잘게 나눈 격자점에서 계산해 폭풍과 토네이도를 예측할 수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는 기사를 봤다. 이들은 상업적 목적없이 오로지 꿈을 위해 이 일을 하는 것이다.
필자
도 이들과 같은 아마추어 로켓 연구가로서, 이들이 꼭 우주에 다녀오기를 기원하고 있다. 우주, 그곳은 우리가 결코 도달하지 못할 곳이 아니란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거의 같기 때문에 관찰만 잘 하면 누구의 애벌레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필자
가 주로 연구해 온육상 곤충 중 전혀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 나비목의 애벌레인 캐터필라를 분석하고 완전변태 곤충 중 목별로 분류하는 기초적인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어른처럼 애벌레도 머리-가슴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