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별"(으)로 총 3,6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기로운 수학생활] 게임 만드는 Maker VS 게임하는 Player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수동병원? 그중에서도 수동병원의 에이스 5인방, 익준, 정원, 석형, 송화, 준완은 특별한 수학 공부 비법이 있는데 놀랍게도 그 비법은 ‘게임’이었어! 그런데 게임을 개발하면서 수학을 공부한 ‘Maker’, 게임을 하면서 수학을 공부한 ‘Player’로 나뉘어 싸움이 붙었지 뭐야~. 누가 이기나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게 맞는 수학 문제집은?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학교 수업을 거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 이 친구들은 문제집이 필요 없습니다. 대신 특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수업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기초가 부족하다는 뜻인데요, 제 경험상 수업을 따라가기 어려운 친구들이 혼자서 문제집을 풀다 보면 자신감만 떨어지고 수학을 완전히 놓아버리는 ...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되면 나타나는 질병이다. HIV에 감염되더라도 대부분은 특별한 증세를 느끼지 못하고 감염 사실을 모른 채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8~10년으로 매우 오랜 기간 증상이 없는 잠복기가 이어진다는 게 HIV의 가장 큰 특징이다. 그래서 HIV 감염 사실을 모른 채 남에게 전파할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체내에서 치명적인 병원성을 보이면 언제든 면역시스템을 작동할 준비가 돼 있어, 특별히 아프지 않고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있는 셈이다. 또한 박쥐는 c-Rel 유전자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있어 이른바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 일어나지도 않는다. 생물의 면역반응은 바이러스의 감염을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없었기 때문에 가까스로 감염을 피해가며 연구했던 기억이 있다.LCMV는 여러모로 특별한 바이러스다. 일반적으로 쥐에게서 수막염을 일으키지만, 세포독성 T세포가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쥐에서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우리는 세포독성 T세포를 연구했고, 이는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 ...
-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작년 6월 약 9600km를 이동해 아이슬란드로 이사했어. 긴 여정 동안 우리를 옮기기 위해 특별 제작된 들것, 수조, 수온을 유지할 4t의 얼음 등 많은 준비물이 필요했지. 그러고도 30여 시간 동안 트럭, 비행기, 배를 4번이나 갈아탄 후에야 아이슬란드에 도착할 수 있었단다. Q 요즘은 어떻게 지내고 있어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산업혁명 이후 많은 양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며 지구의 온도는 약 1.1°C 상승했다. 이런 위기 속에 2015년 12월 12일 200여 개의 나라는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C 이하로 유지하는 ‘파리협정’을 맺었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의 37%를 줄인다는 국가목표를 세웠지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 차례의 임상시험을 수행한다.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백신 개발이 긴급한 경우 등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면, 이 모든 단계를 통과해야만 비로소 백신을 인체에 접종할 수 있다. 안전성과 효능을 두고 논란이 일었던 대표적인 사례는 신종플루 백신이다. 일부 인플루엔자는 이미 백신이 개발된, ...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로 쉽게 찍는 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어려워요6월은 ‘천문덕후’들에게 아주 특별한 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월식과 일식을 모두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식과 월식을 촬영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리면 순식간에 ‘인싸’의 반열에 오를 수 있지 않을까요? 그렇게 ‘관종’ 기자의 도전은 시작됐습니다. 강한 빛은 사진 ... ...
- [사이언스 보드] “로봇은 여러분의 일자리를 뺏지 않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시작됐습니다. 바로 ROBOT 보드의 어드바이저인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석좌교수님의 특별 강연이 4월 25일 유튜브 동아사이언스 채널을 통해 진행됐죠. 그날 500명이 넘는 사이언스 보드 멤버들이 라이브 방송에 참여했습니다. 오 교수님의 명강의도 듣고, 로봇에 대해 궁금했던 것들을 채팅으로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