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쇼크
충동
자극
충돌
타격
추진력
흥분
d라이브러리
"
충격
"(으)로 총 2,252건 검색되었습니다.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빈틈에 순간적으로 ‘활액’이 밀려 들어와요. 활액은 관절이 서로 부딪히면서 생기는
충격
을 줄여 주는 미끌미끌한 액체예요. 그런데 갑자기 생긴 넓은 빈틈을 활액이 모두 채울 수 없어 공기가 함께 밀려 들어온답니다. 바로 이때 ‘뚜두둑’ 하는 소리가 나는 거예요.이번 연구 결과로 손가락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버틴답니다. 그리고 작은 건물은 큰 건물에 비해 건물 전체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같은
충격
을 받아도 쉽게 부서질 수 있어요. 네팔의 피해가 큰 것은 작은 집이 모여 있기 때문이었어요. 전문가들은 네팔은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만큼 건물을 내진 설계가 된 철근 콘크리트 공법으로 지어야 한다고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지름 3cm가 넘는 철포탄을 300m 넘게 날릴 수 있는 위력이다. 그러다보니 포를 쏠 때 엄청난
충격
량이 발생했을 것이다. 만약 천자·지자총통이 배 양옆에 있었다면 포를 쏠 때마다 배가 뒤집혔을 것이다. 그래서 천자·지자총통은 2층과 3층 전면에 배치했을 걸로 예상된다.Q 거북선의 상징인 등껍질에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때 참치만 많다면 그 어떤 생물이 걸려 올라와도 신경 쓰지 않는 모습을 보고 큰
충격
을 받았다”고 말했다. “참치 주낙배에서는 상어가 끌려 올라왔을 때 산 채로 지느러미를 자르기도 합니다. 지느러미가 잘린 상어는 헤엄치지 못하고 바닥으로 가라앉습니다. 결국 천천히 죽어가죠.” 상어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그 일에 지나치게 익숙해져 버려서 이를 처음 겪는 사람들이 느낄
충격
을 과소평가하기 때문이다. 대학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천연덕스럽게 “그걸 왜 몰라”라고 묻는 것이 좋은 예다.도움을 줄 때는 내가 어떤 것을 해줬느냐가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
충격
과 공포’. 축주의 첫 인상은 꼭 그랬다. 숨이 턱 막히는 덥고 습한 공기는, 그래도 예상한 바였다. 짧기로 유명한 활주로에서 비행기는 문자 그대로 급정거했고, 활주로 옆 철조망에 다닥다닥 붙어 서서 일행을 뚫어져라 구경하는 현지인의 시선은 사뭇 두려웠다. “직업이 딱히 없는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목 빠지게 기다리던 결과가 도착했다(시제품인 탓에 분석 시간이 오래 걸렸다). 결과는
충격
이었다. 평소 다이어트를 해도 요요가 반복되고, 밥을 먹고 돌아섰는데도 금방 허기가 졌던 이유를 유전자에서 찾을 수 있었다(모든 것이 부모님 탓!). 실제로 체중에는 환경적인 요인뿐 아니라 유전적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발견을 요란하게 보도했다. 인류학 역사에서도 몇 번 안 되는 큰 발굴이었고, 내용도
충격
적이었다(70쪽 기획 참조. 이 발굴 내용은 이후 연구에 따라 차차 재평가될 것이다). 때맞춰 한국을 방문한 저자(이상희 미국 UC리버사이드 인류학과 교수)는 이 새로운 화석 ‘호모 날레디’에 대한 해설을 위해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플라스틱자전거를 탈 때 쓰는 안전모는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요. 플라스틱은
충격
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넘어지거나 부딪혔을 때 머리를 보호해 줄 수 있거든요. 하지만 금속에 비하면 열을 견디는 능력이 적고 덜 단단하기 때문에 쉽게 긁힌다는 단점이 있어요.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충돌구와 정확히 반대편 지점에는 언덕 형태의 튀어나온 지형이 있다는 사실. 마치 받은
충격
이 반대편으로 표출된 것처럼 말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 충돌이 수성의 궤도를 찌그러뜨릴 정도로 컸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행성이 태양 주위를 원형으로 도는 것과 달리(이심률이 0에 가깝다)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