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독관
간부
지휘자
d라이브러리
"
책임자
"(으)로 총 659건 검색되었습니다.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있다는 사실이 충격적일 뿐이다.지난 9월 전자통신연구소 국정감사에서 이 장치의 개발
책임자
로 알려진 강철희박사는 의원들이 연신 '블랙박스'를 거론하면 질의를 할 때 히죽히죽 웃기만 했다. "왜 진지하지 못하냐"고 묻자 그는 "'블랙박스'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고 모뎀의 일종인 '비음성통신용 ... ...
세일즈 엔지니어 우리기술을 세계에 팔며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한국차가 왜 이렇게 비싸냐?"는 말만 남기고 가버린다는 것이었다.판매부장 및 지역
책임자
들이 나에게 찾아와 "대우에서 수출가격을 대폭 낮추어야 판매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기 시작하였다. 같은 한국제품인 H사의 1천6백cc급은 2만2천 사우디리얄인데 르망(현지에는 레이서로 ... ...
국민을 놀라게 한 블랙박스 도청, 얼마나 밝혀졌나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연구원이 밝혔다고 전했다.이에 대해 연구소의 경상현소장과 X프로젝트의 개발
책임자
인 강철희박사는 이같은 사실을 극구 부인한다.이들은 △블랙박스는 비음성통신기기들의 전송품질을 재기 위한 변복조장치(모뎀)를 두고 하는 말이며 △전화는 아날로그신호를 주고 받으므로 이 시스템과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한하므로 연구생의 양성기간은 박사원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 및 학술연구기관의
책임자
가 연구생의 준비 정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결정하게 되어 있다.연구원과 박사원에 재적하고 있는 연구생의 물질적인 대우는 입적 이전의 전직직위에서 받던 대우를 그대로 받기로 되어 있으며 과학연구에 ... ...
뿔마저 빼야 하는 운명 코뿔소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동물의 생명유지에 치명적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짐바브웨의 야생동물보호기금 재단
책임자
인 '데이비드 커밍'씨는 "검정코뿔소의 뿔은 관목의 잎을 따먹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밀렵방지책으로서의 뿔 제거작업은 검토될 수 있을지언정 채택할 수는 없는 방법"이라고 한다 ... ...
걸어다니는 로봇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등 20여명의 국내 연구진이 힘을 합쳐 만든 합작품의 성격을 띠고 있다. 연구
책임자
인 과학기술원 변증남교수팀(전기전자과)은 총괄진행과 관리제어시스팀 및 비전(vision) 부분을, 같은 과 정명진교수팀은 시뮬레이션(similation)파트를, 전자통신연구소 황성구박사팀은 걸음새연구를, 기계연구소 ... ...
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과학기행 특색있는 제도와 내용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정책에 따른 정부와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정치국(Politburo) 수석이 과학기술계의 최고
책임자
가 되는 것이다.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과학기술계를 실제적으로 과학자와 기술자가 이끌어 간다는 사실이다. 반면 미국은 주로 법과대학 출신들이 과학기술계를 관리하고 있다.소련은 세계 최대의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3차통제를 받는 등 자율적 연구는 점전 뒷전으로 밀려나갔다.더군다나 5공화국과 관련,
책임자
가 낙하산식 인사로 들어오는 경우도 있어 연구원들의 목소리는 연구원 운영에 있어서 '반향없는 메아리'꼴이 되었다. 극단적인 경우 국내 실정을 전혀 모르고 위에서 시키는대로마나 무책임하게 ... ...
책임자
바뀐 세계보건기구(WHO)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노력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모든 스탭과 지역
책임자
는 충분한 토의를 거친 다음 결론을 짓고 일치 단결해서 문제해결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같은 '나까 지마'씨의 운영방침에 대해 WHO 스탭들은 '그의 일본식 또는 아시아적 운영방침이 어떤 좋은 ... ...
「디스커버리」호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결정(結晶)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이 실험의 주역은 미국 앨라바마대학의 생화학 교수이며 나사(NASA)의 결정체 프로그램
책임자
인 '찰스 버그'박사.대 제약회사들 참여이번 디스커버리호실험은 업존쉐링등 6개 제약회사가 참여했다. 여기서 주로 다뤄진 단백질 결정체는 3가지였다. 암 치료제로 사용되는 인터페론, 혈압에 영향을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