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응
순화
조화
순종
동화
융통
적합
d라이브러리
"
적응
"(으)로 총 1,74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지구 곳곳에 퍼져 살고 있으며, 견딜 수 있는 환경도 극단적으로 다양하다. 진화도 빨라
적응
도 잘 한다.따라서 만약 당신이 생명을 모두 끝내고자 굳게 마음을 먹었다면 운석은 충분하지 않다. 강력한 자외선으로 지구를 구석구석 소독하거나, 최소 수백℃의 열로 멸균처리를 하라. 그래도 끈기 있게 ... ...
응답하라! 수포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학생이 제일 먼저 시작하는 일이 바로 공식을 암기하는 것입니다. 빠르게 나가는 진도에
적응
하려다 보니 생긴 문제입니다. 앞서 얘기했듯이 수학은 정의의 학문입니다. 교과서에서 개념을 설명할 때는 정의를 내린 후 개념을 설명하는 공식과 함께 유도과정이 나옵니다. 이 논리를 충실히 따르는 ... ...
도전! 대한민국 의사되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끝낸 제자가 행복하지 않다며 다른 직업을 찾고 있기도 하다. 의사는 노력만으로
적응
되는 직업이 아님을 알 수 있다.의사의 덕목은 히포크라테스의 선서에 잘 언급돼있다. 인류에 대한 봉사를 기본으로 생명존중과 명예, 환자에 대한 의무를 강조한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대학원장은 의사의 덕목을 ... ...
Bridge 1. 임신에 대한 진실 Q&A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두 가지 견해가 있다. 하나는 사람의 수명이 늘어났기 때문에 여성의 생식 기능이 변화에
적응
하지 못해서 생긴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할머니 가설’이다. 할머니 가설은 여성이 나이를 먹으면 자신의 아이를 낳는 것보다 손자나 손녀 같은 혈족을 돌보는 게 자신의 유전자를 지닌 후손의 수를 ... ...
상어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적응
기를 거친 다음 수족관에 옮긴다. 이번 제주 수족관에서 죽은 고래상어는 충분한
적응
기간 없이 부랴부랴 수조에 전시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번 사고는 인간의 욕심이 빚어낸 ‘인재’라고 할 수 있다.청새리상어해수욕장 넘나드는 바다의 방랑자남아프리카공화국이나 호주같은 곳에서는 ... ...
수학·과학 영재와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틀려도 2등급으로 밀려날 정도였다. 늘 어려운 문제만 풀던 이 학생은 쉬운 문제에
적응
이 되지 않아 이 시험에서 3등급을 받았다. 많은 사람들이 ‘어찌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냐’며 수능시험을 탓했다. 이 학생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수능은 일반 학생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보편적 시험이다. ...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사는 사람은 검은 편이고 적게 받는 곳의 사람은 흽니다.그러니까 피부색은 환경에 맞춰
적응
한 결과일 뿐, 특별한 요인은 아닙니다. 더구나 인종이라는 개념 자체가 생물학적으로 서로 구분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라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피부색을 둘러싼 논쟁은 더 이상 필요없는 것처럼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전공수업을 영어로 소화하기 힘들지 않을까 걱정도 했지만 학생들은 생각보다 훨씬 잘
적응
했다. 상위 2~3%의 학생들이 모여 있는 학교답다. 12학번 전성원 군은 “이제는 생소한 한자말 때문에 오히려 번역서를 보기가 힘들다”고 한다. 안태경 군도 마찬가지다. 영어강의를 듣는 데 어려움이 ... ...
광합성 하는 곤충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것에 주목했다. 완두수염 진딧물은 이상적인 환경에서는 주황색을 띄지만 저온의 환경에
적응
시키면 카로티노이드의 양이 많아지고 녹색이 된다. 또 무리가 커지고 먹이가 줄어들면 흰색이 된다. 카로티노이드를 합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세 종류의 완두수염 진딧물이 얼마나 많은 ATP를 ... ...
슈퍼컴퓨터로 치매 조기진단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바꿔 대학원에 진학했다. 이처럼 파격적으로 전공 분야를 바꿀 경우엔 새 전공 분야에
적응
하기가 매우 어렵다. 피슬도 예외가 아니라 대학 졸업 후 10년 만에 박사 학위를 받을 때까지 연구 실적이 초라했다.그런 피슬 박사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뇌과학 분야의 대가 앤더스 데일 박사를 만난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