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경
경관
풍경
경치
무대
배경
사태
d라이브러리
"
장면
"(으)로 총 1,80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수 있다. 지난해 8월 NASA는 3D 프린터로 직접 부품을 만들어 15년 된 ISS를 보수하는
장면
을 유튜브에 공개했다.6월 12일 공식 발표에 따르면, 메이드인스페이스의 3D프린터는 NASA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 우주정거장용으로 개발된 이 프린터는 우주여행의 강한 진동이나 전자기파 간섭을 견딜 수 있는지, ...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한다. 넘어질 것에 대비해 사람이 뒤에 서 있을 수 있다.➍ 2014 브라질 로보컵 개막식
장면
.“2050년엔 인간과 시합해 이기겠다”흔히 ‘로봇축구’라고 하면 1999년 방영된 드라마 ‘카이스트’를 떠올린다. 이 드라마에선 전기모터가 들어있는 네모난 상자에 바퀴가 붙어 있는 단순한 로봇이 ... ...
[시사] 우리가 작아진다면?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그만큼 성취감이 느껴지는 작업이랍니다. 무엇보다도 처음 머릿속으로 구상했던
장면
이 실제 사진으로 나타나면 매우 뿌듯하죠.제 작품 중에서는 ‘너도나도 캔디크러시 게임’이 가장 마음에 들어요. 사진의 색감과 인물들의 동작이 적절히 조화된 것 같거든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작품의 제목이 ... ...
고양이 VS 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전 뉴스에서 과학자들이 서울동물원에서 태어난 삵 다섯 마리를 자연으로 보내 주는
장면
을 보았어요. 그런데 그냥 얼룩무늬 고양이처럼 보이더라고요. 고양이와 삵은 어떻게 다른가요? 유정호(서울 목동초 2)고양이고양잇과에 속하는 동물이에요. 야행성으로 낮보다 밤에 활동하는 걸 좋아하는 ... ...
사랑하면 정말 ‘힘’이 난다… ‘옥시토신’ 때문에!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영화 ‘비포 미드나잇’의 한
장면
. 중년이 된 셀린과 제시는 다시 사랑의 일체감을 느낄 수 있을까.]흔히 사람들은 ‘사랑이 힘이 된다’고 말한다. 중년 부부일지라도 서로 믿고 의지해야 힘이 나기에, 사랑은 소중하다. 그런데 이 말이 과학적으로 증명됐다. 미국 UC버클리 연구팀은 옥시토신이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이 1950년에 제안했다. 튜링은 제3자가 사람이 컴퓨터와 대화하는
장면
을 보면서 누가 사람인지 구분할 수 없다면 그 컴퓨터가 인공지능을 가지고 있다고 봤다.튜링 테스트에서는 심사위원들이 사람과 컴퓨터의 대화를 5분 동안 보고 심사위원의 30% 이상이 진짜 사람이 ... ...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함을 암시하는 소리다.우크라이나의 13살 소년, 스타가 되다[▶영화 ‘그녀’의 한
장면
. 이어폰을 꽃고 다니며 인공지능 운영체제인 사만다와 대화를 나눈다. 자신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이해해주는 사만다에게 시어도어는 마침내 사랑을 느끼게 된다.] 오늘날 튜링 테스트는 인공지능을 판단하는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그 수도 무려 13명이나 된다. 나머지 이야기는 페로의 동화와 아주 유사하다. 다만 마지막
장면
이 조금 다르다. 오로라 공주는 100년 동안 잠들어 있었는데, 깨어나는 날 우연히 그 근처를 지나가던 왕자가 공주를 보고 한눈에 반해 공주에게 입을 맞춘다. 그리고 때마침 잠에서 깬 공주가 왕자를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영화 ‘서편 제’에는 아버지가 딸의 눈을 멀게 하기 위해 부자를 달 인 한약을 먹이는
장면
이 등장합니다. 다른 많은 미나리 아재비과 식물이 그렇듯, 투구꽃의 덩이뿌리에는 ‘아코 니틴’이라는 맹독 성분이 있습니다. 너무 많이 먹으면 호흡중추신경이나 심장근육이 마비되지요. 물론 전문가 ... ...
[과학뉴스] ‘불로영생의 약’은 젊은 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소설에서 늙은 마녀는 예뻐지기 위해 처녀의 피를 먹는다. ‘엽기적인’ 이런
장면
에 과학적 근거가 있는 걸까. 늙은 쥐의 피를 젊은 쥐의 피로 바꿨더니 ‘젊음’을 되찾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놀랍게도 3개 연구팀이 비슷한 시기에 각각 논문을 냈다.미국 샌프란시스코대 해부학과 사울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