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이어림
손아래임
점화
플로지스톤
열소
d라이브러리
"
연소
"(으)로 총 76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라늄·플루토늄·핵무기의 삼각관계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발전용 경수로에서는 3년만에 한번씩 핵연료봉을 교체하는데 플루토늄의 상당 부분이
연소
돼 플루토늄 추출 효율이 떨어진다.최근에는 고속증식로라는 것이 등장해 플루토늄의 대량생산에 기여할 전망이다. 자연상태의 우라늄원광에 우라늄235의 비율이 워낙 떨어지기 때문에 우라늄238을 사용하는 ... ...
화학- 연료, '일과 열'로 에너지 변환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공기가 없는 우주 공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함께 생각해봅시다메탄 1몰(16g)을
연소
시킬 때 방출되는 순수한 에너지를 계산해보자. 이를 위해 1몰의 결합을 끊는데 사용되는 결합에너지의 측정결과를 이용하자.해설우선 화학반응식을 쓴다.${CH}_{4}$+${2O}_{2}$→${CO}_{2}$+${2H}_{2}$O반응은 2단계로 ... ...
폐타이어 재활용 공정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그냥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타이어를 태우는 방식을 채용하지 않는 이유는
연소
시 발생하는 유독물질 때문이다.사정이 이러한 가운데 이미 몇년 전부터 일본 히로시마의 니시카와 고무회사 연구팀은 폐타이어를 재활용이 가능한 성분으로 분해하는 기술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어 관심을 ... ...
터빈없는 발전기 MHD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얻고 이를 이용해 메가와트급전력을 발생시킨 것이다. MHD시스템을 통과한 화석연료
연소
생성물은 곧바로 대기로 방출되지 않고 회수시스템에 의해 회수돼 보조터빈을 돌리는데 사용한다. 이 실험은 종래 화력발전소보다 에너지 취득률을 두배 이상 향상시킨 것으로 알려졌다.핵에너지와 결합하는 ... ...
남·북한 전략무기 정밀분석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D로 알려지는 것들이 그것. 스커드C는 5백50㎞의 사정거리를 가진 것으로 알려지며 모터가
연소
된 후에 모터와 연료탱크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탄두의 무게를 6백㎏으로 줄였다.스커드D 구상은 목표지점과의 평균오차 50m 정도까지 그 명중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로 여겨진다. 미사일이 접근하는 ... ...
화학 - 고압기체, 왜 위험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부으면 계속적으로 반응이 일어난다. 물론
연소
의 결과 생기는 물질은 다르지만 염소는
연소
를 지속시켜 주는 기체다.함께 생각합시다다음은 몇가지 기체의 성질을 나타낸 표다. 이 중에서 냉장고의 냉매로 적합한 것은?해설냉장고는 일반적으로 고압으로 액화시킨 물질을 증발시켜서 냉장고 안의 ... ...
1. 지구는 생물이 살기 알맞도록 환경을 조절해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현재 농도인 21%에 이르게 되었다. 이후 지금까지 이 산소 농도가 유지된 이유는 산소의
연소
성 때문이라고 한다. 산소 농도가 15% 이하이면 공기 중에서 불이 붙지 않는 반면, 25%가 넘으면 자연적으로도 불이 발생하므로 지구상의 산소 농도가 과도해지면 불이 나서 대부분의 삼림을 태워 버려 ... ...
물리- 증기보트 띄우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하고 또 다른 에너지 형태로 전환되기도 합니다. 석탄이나 석유 같은 연료들은
연소
돼 화학적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자동차와 비행기의 동력을 공급하고 발전용 터빈을 돌릴 수 도 있습니다.이러한 열기관에는 증기 엔진처럼 연료를 엔진의 외부에서 태우는 외연 기관과 제트 엔진이나 자동차 ... ...
인간은 수명 결정하는 유전자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신체론의 이론적 뒷받침을 받고 있다. 강력한 산화제인 자유기는 자동차가 휘발유를
연소
할 때 내놓는 매연처럼 신체가 에너지를 사용할 때 부산물로 나오는 유독물질이다. 사람의 기관은 호흡이나 소화과정에서 매일 약 1백억개의 자유기를 내놓는다. 자유기는 자동차의 쇠를 산화시켜 갉아먹는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H2 발사연기가 여러번 있었던 것은 분사까지 연료를 2번
연소
시키는 LE7엔진 개발이 완전하지 못했기 때문. 일본 최남단의 다네가시마섬에서 2월4일에 발사된 H2에는 두개의 위성이 실려 있었다. 하나는 21세기 실용화를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무인우주왕복선 호프의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