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글쓰기] 인공지능 소설가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명대사를 원한다면 인공지능에게 물어라?!친구들은 뽀로로를 떠올리면 어떤 것들이 연상되나요? 아마 펭귄이나 안경, 모자 등이 생각날 거예요. 서울대학교 바이오지능 연구팀은 이런 연상 과정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의 대사를 스스로 만드는 인공지능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뽀로로 183편을 딥러닝 ... ...
- Intro. 멋진 작품이 뚝딱! 인공지능 예술가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안녕! 우리는 예술계의 거장 빈센트 반 고흐,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윌리엄 셰익스피어야. 요즘은 기계도 예술 활동을 한다는 말을 듣고 놀라서 찾아왔어. 예술이야말로 창의력이 있어야 가능한 인간 고유의 분야라고!기계가 예술을 한다는 건 말도 안 돼!▼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 1. [미술] 추상파와 인상파를 뛰어 넘는 AI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인공지능 화가의 시작, 아론흔히 창의성을 발휘하는 예술 활동은 사람만이 할 수 있다고 말해요. 그런데 놀랍게도 1973년부터 꾸준히 그림을 그려온 기계가 있어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교수였던 해롤드 코헨이 개발한 ‘아론(AARON)’이에요.코헨이 아론을 처음 개발했을 때, 사람들은 추상화를 ... ...
- [Info]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가 달라집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등 주요 대학의 연구실을 탐방한 기사를 만날 수 있습니다. ‘노벨상 공장’인 세계의 연구실 소개는 덤!3. 강화된 검색 기능! ‘퀵서치’와 ‘상세 검색 필터’●검색 단어를 입력하면 곧바로 이미지와 기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더 편리한 검색 조건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 ...
- [Career] 제어시스템으로 완벽한 인공지능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사진은 입력 값 사이사이에 위치한 얼굴의 모습”이라고 말했다.이 밖에도 이 교수의 연구실은 글을 만들어내는 인공지능, 금융분야에서 자산가격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연구한다. 입력 값이 다를 뿐 원리는 비슷하다. 글을 만드는 인공지능은 요즘 유행하는 ‘챗봇’에 활용할 수 있다. ... ...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한다.햇살이 따스하게 쏟아지던 6월에 만난 윤아람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의 연구실에는 감각적인 그림 액자가 몇 점 걸려 있었다. 그 중 한 작품이 눈길을 확 끌었다. 액자를 가득 채우는 밭의 양 옆으로 구불구불 강이 지나가는 그림이었다. 체스판 같은 밭이 어느 순간 기러기 떼로 변해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2009년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가 인기를 끌자 각종 노래 경연 프로그램이 우후죽순 생겨났다. 쇼미더머니는 이런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 랩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2012년 처음 방송을 시작해 올해 여섯 번째 시즌을 맞았다.엄격한 심사를 거쳐 예선을 통과한 지원자는 프로듀서와 팀을 이뤄 공연 ... ...
- Part 4. 거대 도시에서 행복하게 사는 법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빌릴 사람의 수를 예측해 그 수에 맞게 자전거를 옮겨야 한다는 거죠. 서울대학교 교통연구실이 수요수요예측모델을 만들어 따릉이를 옮기는 최적의 방법을 연구 중입니다. 우리 도시도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려면 이 연구를 참고해야겠네요!바람이 불어야 여름에도 행복해시민들은 여름에 ... ...
- [과학뉴스] 크리스퍼, 표적 외 다른 유전자에 변형 일으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주목 받는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에 적신호가 켜졌다. 미국 스탠퍼드대 오믹스 연구실 켈리 새퍼 연구원팀이 크리스퍼가 표적 유전자 이외의 DNA에 예기치 않은 돌연변이를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메소드’ 5월 3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지금까지 크리스퍼와 관련한 대다수의 연구는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넣어만든 혼합물이었다. 무엇을 섞는지에 따라서 다른 색이 나타나는 것이다.황 교수의 연구실 한편에는 흥미로운 상자들이 높게 쌓여 있었다. 부여 장석, 청주 백운석, 청주 석회석, 부여 규석, 합천 카올린(고령토), 함평 점토, 계룡산 황토, 하남 황토 등의 광물과 흙을 산지별로 구분해 담아 놓은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