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설책
이야기책
픽션
연의소설
연
영웅소설
영웅
d라이브러리
"
소설
"(으)로 총 1,2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영웅과 ‘미래 예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똑똑한 세상을 만드는 미래 아이디어 80’ 이라는 책을 냈다.아주 오래 전 SF영화나
소설
에 나왔던 뚱딴지같은 첨단기기들이 비슷한 형태로 현재에 실현되는 사례가 많다. 그것처럼 저자는 지금은 비록 바보 같고 불가능해 보이는 아이디어라도 발전시키면 미래에는 실현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
신화와 현대 화학을 넘나드는 12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당시 영국 사회에 대한 신랄한 풍자가 담겨 있어 사실 성인 독자에게 더욱 볼거리가 많은
소설
이다.우선, 걸리버는 소인국 사람과 몸의 형태가 비슷하다. 그래서 소인국의 수학자들은 각도기를 사용해 걸리버의 키가 소인국 사람의 12배 정도 되는 것을 알아 낸다. 그리고 닮음비를 이용하면 걸리버의 ... ...
[수학영재캠프] 작은 것은 아름답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그동안 즐거운 경험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번 주제는 스토리를 넣어서 작은
소설
처럼 꾸몄습니다. KAIST Cyber 영재교육센터에서 2001년 봄에 출제됐던 과제입니다.지나치게 작은 수에 집착하는 수학자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칸토(Canto). 물론 수학자인 만큼 모든 수를 다 좋아하기는 하였으나, 그는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멋진 실마리가 하나 더 생길 수도 있으리라는 희망일 것이다. 1895년에 출판된 웰즈의
소설
‘타임머신’이 10년 뒤에 아인슈타인의 이론으로 재탄생한 것처럼,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상상일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끝나면 육체는 버려진다. 의식은 기계 두뇌와 몸속에서 생명을 이어간다. 여느 과학
소설
이나 영화보다 세밀한 묘사다. 더구나 인간의 신경망이나 망막 구조를 응용해 생체 컴퓨터를 구성하려는 아이디어는 오늘날 인지공학이나 뇌과학이 제시하는 아이디어를 한참 앞서가고 있다.‘창조의 엔진’은 ... ...
과학적인 미래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전문자료를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 되거나 과학적인 근거가 약한 자신만의 공상과학
소설
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개념과 주제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조금만 어려운 질문을 받아도 대답을 못하고 우물쭈물하기 쉬워 면접관에게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한다. 반드시 자신의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나오는 신호를 먹고 소화시켜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신호로 바꿔 배설한다.
소설
속에서 어쩌다 우주여행에 나서게 된 주인공은 바벨피쉬를 귀 속에 집어넣은 뒤 외계인과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게 된다. 얼마나 편리한가. 외국어 공부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보면 귀가 솔깃할 것이다. 그런데 ... ...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20cm, 기울기는 1/48로 하는 것이 알맞다. tip최초의 현대식 수세식 변기는?1596년 영국의
소설
가 존 해링턴은 엘리자베스 여왕의 총애를 받고자 최초의 현대식 수세식 변기를 고안했다. 그는 나무의자 위에 물통을 설치했고 볼일을 본 뒤 물을 내릴 수 있는 손잡이를 고안했으며, 오물이 분뇨통으로 ... ...
PART 3 영재들은 왜 갖고 노는 걸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후두정엽처럼 기발한 발상이나 추론능력을 담당하는 기관은 유동성 지능과 관련이 깊대.
소설
가는 지긋한 나이에도 왕성한 활동을 하지만 연로한 컴퓨터 프로그래머는 찾아보기 어려운 이유가 이 때문이래. 그런데 청소년기 이후에는 발달하지 않는 유동성 지능을 발달시키는데는 수학퍼즐이 ... ...
게임 마니아, 발명왕에 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던졌다. 예상치 못한 질문이라 당황스러워했지만 재치 있게 답했다. “발명은 장편
소설
이에요. 오랜 기간을 거쳐 하나의 멋진 작품을 완성하니까요. 하하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