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급
지급
유포
전파
제공
유행
전개
d라이브러리
"
보급
"(으)로 총 1,371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경과 시간을 초월하는 인터넷 방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소규모 단체에서 운영하는 아마추어 수준의 방송국이다. 초고속 통신망의 급속한
보급
과 멀티미디어 장비와 컴퓨터 가격이 많이 내려가면서 인터넷에 개인 방송국을 여는 사용자도 점차 늘어가고 있다. 장비도 열악하고 방송 시간도 하루에 몇분에서 몇시간에 불과한 곳도 적지 않지만 아이디어나 ... ...
고등학생들이 만든 호버크래프트 '희망 2000'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영국에서 개발된 이후 수상 인명구조와 군사용으로 사용되다가 1980년대 이후 레저용으로
보급
되고 있다. 국내에는 88서울올림픽 이후 레저용으로 수입됐다. 국산 호버크래프트는 땅위에서 20cm높이로 떠서 시속 60km로 날아가며 25도 정도의 경사면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호버크래프트의 발전형이 ... ...
오픈소스 문화의 영웅들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과학자가 설립한 회사로 리눅스에 대한 사랑이 각별한 유럽에서 열성적으로 리눅스를
보급
하고 있다. 리눅스 패키지 뿐 아니라 하드웨어도 취급하고, 리눅스 지원과 교육사업으로 가장 성공한 회사로 알려져 있다. 실리콘밸리에도 지사를 설립했지만 2년동안 사장이 여러번 바뀌는 등 고전을 면치 ... ...
파도와의 절묘한 만남, 서핑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그러나 국내의 경우 파도타기를 즐길만한 파도가 몰려오는 해안이 없다. 국내에서 아직
보급
되지 않은 이유가 이 때문이다. 캐리비안베이의 서핑라이더에서 파도타기를 즐기는 소규모 모임이 구성돼있기는 하다.서퍼가 해변 가까이에서 파도를 성공적으로 타고 적당한 속력을 얻은 후의 운동은 ... ...
윈도 vs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개발과 공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정부까지 나서서 리눅스
보급
에 주력하고 있기 때문에 윈도의 응용프로그램처럼 뛰어난 프로그램을 리눅스에서 공짜나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하게 될 날도 멀지 않았다. 미래에 운영체제가 어떻게 변화할 지 전문가조차 예측하기 어렵다. ... ...
인터넷과 휴대폰 최강국 핀란드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Special Mobile의 약자로 유럽에서 채택하고 있는 디지털 이동전화 방식이다. 현재 국내에
보급
되고 있는 CDMA와 디지털 이동전화 시장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고 있다. 1989년 범유럽 표준규격으로 제정된 GSM은 협대역 시분할다중접속(TDMA) 방식을 적용, 유럽 17개국을 단일통화권으로 묶게 됐다.CDMA: ... ...
디지털 가정으로의 초대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의미다.쉽고 편리한 사용환경이런 똑똑한 기능을 가지는 정보가전이 개발되고 가정에
보급
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할까. 먼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정보가전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하늘도 날고 물 위에서도 나가는 자동차가 만들어졌다고 하자. 그러나 이를 사용하기가 매우 어렵고 ... ...
미래의 화폐 사이버 머니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주었고, 만일을 위해 자신은 신용카드형 전자화폐를 하나 더 가지고 있다. 전자화폐가
보급
되면서 현금처럼 분실할 위험도 없으며, 분실하더라도 비밀번호를 알아야 쓸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더 안심된다는 것이 홍길동의 생각이다.사이버머니 시대 개막한편의 공상 과학 소설처럼 들릴지도 모른다. ... ...
사이버에 중독 되셨습니까?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더 이상 부정적 느낌만을 전달하는 것 같지 않은 것은 왜일까?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보급
과, 자신의 정신적 고통도 용감하고 자연스럽게 공개할 수 있는 개방적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에 힘입어, 인터넷 중독과 같은 ‘사이버 중독’은 이미 현대 사회를 상징하는 매우 중심적인 단어로 ... ...
한국은 복제동물 최강국?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사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 만만치 않다. 복제한우를 전국에 대량으로
보급
하기 이전에 소수의 몇마리를 대상으로 충분한 안전성 검증을 시행해야 하지 않을까.원래 소는 생후 18개월에 이르면 시장에 출하되기 시작한다. 어쩌면 2년 후 식탁에서 복제 쇠고기를 접할지도 모른다.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