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회는 지금이야 당장 달려볼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달리기를 제안한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는 달리기가 스트레스 해소와 인지능력 향상,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실제로 확인해보고 싶어서다. 적절한 운동이 뇌 활동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달리기는 별다른 기구 없이 누구나 할 수 있는 적절한 ... ...
[수학뉴스] 물고기의 움직임 포착해 해양 생태계 지킨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먼저 2년 동안 그레이트배리어리프의 아기 산호 송어 1190
마리
와 다 큰 산호 송어 880
마리
의 움직임을 관찰했습니다. 이미 정착한 다 자란 물고기보다는 알에서 깨어난 뒤 몇 주 동안 이동하면서 정착지를 결정하는 아기 물고기의 움직임에 집중했죠. 그리고 유전자를 분석해 물고기 가족별로 움직이는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IUCN) 적색목록에 심각한 위기종(CR)으로 분류된 앵무새 카카포. 전 세계에 150여
마리
밖에 남지 않은 카카포의 표준유전체를 최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유전자에 각인된 종 분화 비밀 밝혀VGP 연구팀은 척추동물 7만 종의 표준유전체를 차례로 확립해 나갈 계획이다. 일단 내년까지 1단계로 260여 ... ...
유산균 프로젝트, 40일간의 똥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1억
마리
이상의 유산균을 섭취해야 하지요. 그래서 얌얌 플러스를 만들 때는 180억
마리
의 유산균들을 넣어요. 또 유산균이 두 번 코팅되어 있어서 대장까지 유산균이 도착할 수 있답니다. Q 제가 먹은 유산균은 계속 뱃속에 있나요? 아니면 똥으로 나오기 때문에 매일 먹어야 하나요? 일부는 ... ...
개와 고양이의 눈빛에 '심쿵' · · ·비밀은 눈 근육에 있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영국왕립수의대와 호주 시드니대 등 공동연구팀은 래브라도 레트리버 3만3320
마리
중 2074
마리
를 무작위로 선별해 질병 여부를 조사한 결과, 갈색 털을 가진 레트리버(23.4%)가 검정색(12.8%)이나 노란색 털을 가진 레트리버(17%)보다 피부 및 귀 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2배가량 높다는 것을 확인해 2018년 1 ... ...
개미왕국의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곰개미들끼리는 달랐답니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검역본부 내에 약 수천만
마리
의 왕개미들이 50년 이상 이어져 살고 있을 것으로 결론을 내렸어요 ... ...
[교육뉴스] 수학에서 실수? 배경지식의 함정에 빠져서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몇
마리
일까?’와 같은 문제였습니다. 흥미롭게도 두 번째 문제에서 사라가 개를 몇
마리
키우는지는 중요하지 않았지만, 사람들은 이를 계산하려 했습니다. 그 결과 사실상 두 문제는 같은 수학 문제임에도 사라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데 헷갈려 했습니다. 사라 문제를 구성하는 요소가 집합 형태의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불치병을 고칠 수 있는 미래를 기다리며, 냉동 인간 190여 명과 냉동 반려동물 30
마리
를 액체질소 탱크 안에 보관하고 있다. 현재 과학자들은 냉동 인간을 만들 때 가장 큰 기술적 장애물인 세포가 얼면서 발생하는 세포 조직 파괴를 최소화할 방안을 연구 중이다. 어쩌면 머지않아 병에 걸리면 냉동 ... ...
개미왕국 거대한 가족, 초군체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집단으로 ‘군체’를 이루고 살지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개미 군체에서 여왕개미는 한
마리
예요. 그런데 여왕개미 여럿이 수많은 일개미를 거느리며 매우 큰 군체를 이룬 것을 ‘초군체’라고 해요.초군체를 만드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재천 교수는 군체 경계에서의 싸움을 줄이고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다른 모기 유충을 잡아먹는다. 광릉왕모기의 유충 단계인 16일 동안 모기 유충 약 416
마리
를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김 연구원은 “과거 미국과 유럽도 왕모기를 사육했지만 방제 구역이 워낙 넓어 결국 단시간에 멀리 살포되는 화학적 방제를 선호하게 됐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방제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