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요
요약
개략
적요
개괄
결론
요지
d라이브러리
"
대의
"(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종교없는 과학은 무력하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무력하고, 자연과학 없는 종교는 눈먼’것 일지도 모른다. 역사를 통해 밝혀졌듯이 현
대의
과학과 종교도 대립과 갈등 넘어 화해의 길을 모색하는 행복한 만남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 ...
중국서 최초 꽃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가진 새로운 초본 수생식물의 한 과(科)로 분류하고 ‘아케프룩타케’(Archae fructaceae, 고
대의
과일이라는 뜻)라는 이름을 붙였다. 딜체르 박사는 “이 식물이 꽃을 피웠다고 보는 것은 씨가 과일의 심피(心皮) 안에 있기 때문이다. 심피는 꽃의 여성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1천6백여개의 분자 지표를 ... ...
Ⅱ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순식간에 왼쪽으로 몸을 틀어 왼쪽으로 공을 정확하게 차는 일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반
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 다른 골키퍼의 선택은 그냥 가운데를 지키는 것이다. 그리고 공이 오는데로 움직이면서 막는다. 적지 않은 수의 공이 가운데로 오기 때문이다.이번 월드컵에서는 한국의 김병지나 ... ...
뷰티풀 마인드 vs 굿 윌 헌팅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쏟아져 나왔다. 라마누잔의 천재성을 발견한 인도의 수학자들은 그를 케임브리지
대의
수학자인 하디에게 소개했다. 하디는 라마누잔을 높이 평가했고 라마누잔이 33세라는 젊은 나이로 생을 마치기 전까지 함께 수학을 연구했다.그러나 라마누잔과 하디의 만남이 없었다면, 그가 영국으로 가지 ... ...
다시 불붙는 지구 최초 생명체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지구 최초의 생명체보다 약 10억년 정도 앞선 것이다”라고 밝혔다.하지만 영국 옥스퍼드
대의
마틴 브레이저 박사는 문제의 물질을 생명체로 볼 근거는 매우 미약하다고 같은 날 네이처에 발표했다. 브레이저 박사는 문제의 화석이 고미생물에서 흔히 보이는 꼬부라진 미세구조를 가졌다고 해서 ... ...
유전자가 운동선수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대한 적합성을 따져야 한다. 다시 말해 훈련이 잘 듣는가 하는 말이다. 캐나다 라발
대의
클로드 부샤드 박사는 유전이 운동선수로의 자질을 결정짓는다고 설명하면서 운동에 우수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이 따로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일란성 쌍둥이들을 대상으로 5개월 간의 훈련을 실시해봤다.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자궁 속에 들어앉은 태아처럼 실제로 잉태중인 별이 있을까. 올해 초 유럽남반구천문
대의
지름 8.2m인 VLT망원경을 이용한 관측결과가 발표됐다. 먼지를 뚫을 수 있는 적외선으로 독수리성운의‘태아별’을 들여다봤다. 적외선 사진을 보면 검은 기둥은 사라지고 먼지 뒤에 숨어있던 별들이 많이 ... ...
완벽한 동반자의 길을 걷다 퀴리부인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돌보아야 할 9살, 2살의 어린 두딸이 있었다. 그녀는 곧 본연의 강인함을 되찾고, 소르본
대의
강단에 섰으며 1908년 소르본대 최초의 여성교수가 됐다. 1911년 그녀는 두번째로 노벨상을 단독 수상했다. 노벨 화학상의 수상 이유는 라듐과 폴로늄의 발견과 각 원소의 성질에 관한 연구로 화학 분야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산물이다.LOC는 1979년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당시 미국 스탠포드
대의
연구자들은 하나의 칩 위에 형성된 생물학 분석 디바이스를 발표했다. 그리고 1981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미세 채널에 의해 물질을 분석해내는 캐필러리 전기영동(CE) 칩을 발표하지만 큰 관심을 얻지 ... ...
거미줄 인터넷에 온기를 불어넣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내놓은 AIDS 치료제 개발 계획, 질병치료용 단백질을 개발하기 위한 스탠포드
대의
게놈앳홈(Genome@home) 프로젝트 등. 이들 프로젝트는 이미 국가간 경쟁을 넘어 전세계 프로젝트로 추진되고 있다. 국적과 인종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동참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반면, 이렇게 얻은 결과는 어느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