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한글이 우선이기 때문에 글자의 인상과 시각적 크기, 획의 굵기, 기준선 높이 등의 기준이 한글이 된다. 반면 다국어 글꼴은 여러 문자를 동등하게 고려해 디자인한다. 영국에서 활동하며 한글과 로마자, 그리스자 등 다국어 글꼴을 디자인하는 ‘윌로우 프로젝트’를 진행한 류양희 디자이너를 ... ...
                            
 
                        
                        
                                            
                                                            
                                                             - [기획] 수학 교과과정 개정에 대한 또 다른 의견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학생들이 진로나 적성 등에 맞춰 다양한 과목을 스스로 골라 듣는 제도로, 누적학점이 기준에 맞으면 졸업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학교와 같은 방식으로,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방식이라 수학 교과에도 영향을 줄 수 있고, 더 나아가 수능을 포함해 대학입시 전반을 바꿀 수 있습니다. 2. 중학교 ... ...
                            
 
                        
                        
                                            
                                                            
                                                             - [수학기자의 책장] 숫자로 찾아보자, 사실 뒤에 숨은 진실을!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찾을 수 있을까요? 숫자와 통계는 이전부터 어떠한 사실에서 ‘진실’을 찾을 수 있는 기준으로 자주 사용됐습니다. 바츨라프 스밀 캐나다 매니토바대학교 명예교수는 에너지, 환경, 식량, 인구, 경제, 역사, 공공 정책 등 자신이 연구해왔던 분야를 숫자로 접근했습니다. 그리고 ‘숫자는 어떻게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는 전문가도 있었다.하지만 가독성을 평가할 수 있는 과학적인 기준과 기술이 개발된 현재는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2005년 미국 알린 알 고든 연구소 연구팀은 세리프의 유무와 크기에 따른 읽기 속도 차이를 실험했다.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여러 단어를 ... ...
                            
 
                        
                        
                                            
                                                            
                                                             - 반려동물에 채식 권하면 안 되는 이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필수 단백질을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식물의 단백질 함량에서 문제가 생긴다. AAFCO의 기준에 따르면 개의 단백질 최소요구량은 대략 22%다. 그런데 식물은 단백질 수치가 낮고 탄수화물 수치가 높다. 단백질이 20% 이상 함유된 식물이 거의 없다. 최소요구량을 맞추기 위해서는 다량을 섭취해야 한다. ... ...
                            
 
                        
                        
                                            
                                                            
                                                             -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뤄야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한국은 아직 탄소배출권 거래가 활발하지 않다. 2021년 할당배출권(KAU21)가격은 8월 13일 기준 1t당 2만 6000원 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6월에는 1만원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전의찬 세종대 기후환경융합센터장은 “가격이 너무 낮아 탄소배출권을 팔려는 기업이 없다 보니 거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 ... ...
                            
 
                        
                        
                                            
                                                            
                                                             - [수학뉴스] 코로나19 감염자의 적정 격리기간 찾는 수학 모형 개발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변수로 포함했습니다. 그런 다음 전염성을 보일 수 있는 혈액 속  SARS-CoV-2의 최소량을 기준으로 시뮬레이션했습니다. 그 결과 획일적 방법은 혈액 1mL 당 감염된 세포가 각각 104.5, 105.0, 105.5개일 때 전염성이 남아있는 환자가 조기 퇴원할 확률이 5%라면, 필요한 격리기간은 11일, 7일, 5일로 ...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볼 수 있겠죠.  용어정리* 표준시 : 한 국가 또는 넓은 지역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기준 시간. 현재 우리나라는 협정 세계시(UTC)보다 9시간 빠른 UTC+9를 표준시로 사용한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1화. 우주를 관측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수학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지구가 세상의 중심이고 태양이 하루에 한 번씩 지구 주위를 돈다고 생각했죠. 이를 기준으로 하루를 낮과 밤으로 나누고 각각을 12시간으로 정한 뒤 다시 한 시간을 30등분해 사용했다고 합니다. 이것이 원 주위를 한 바퀴 도는 각도를30)로 정하게 된 계기예요. 또 바빌로니아인들은 360을 6등분한 60을 ... ...
                            
 
                        
                        
                                            
                                                            
                                                             - 플라스틱 탄생 & 죽음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한다"재활용할 수 없는 플라스틱도 있다"플라스틱은 열을 가했을 때 녹는지, 타는지를 기준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나뉜다. 멜라민, 에폭시 등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녹지 않기 때문에 재활용할수 없다. 트라이탄, 실리콘 등은 재활용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일반쓰레기로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