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원주율 세계 기록 달성! 소수점 아래 62조 8318억 5307만 1796번째 자리까지 계산했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됐고요. 해설 원의 넓이도 원주율을 이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어요. 원을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잘게 잘게 조각내면 아래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만들 수 있거든요.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건 가로와 세로 길이만 곱하면 되니 원의 넓이를 구하는 것보다 쉽지요. 직사각형의 세로 길이가 반지름, ... ...
- 한글꼴 · 로마자꼴을 해부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높이에 따라 글꼴의 분위기가 결정된다. 전체적인 균형을 완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선을 사용한다. ● 일정한 간격처럼 보이는 기술, 커닝글자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디자인하면 글자의 모양에 따라 멀어져 보이는 경우와 가까워 보이는 경우가 생긴다. 커닝은 글자의 모양에 따라 적절한 ... ...
- 물질의 특성 살피는 새로운 도구, 위상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정 교수팀은 액정의 위상 구조를 나눌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인 ‘매듭’을 떠올렸습니다. 액정 물질을 이루는 입자들의 배열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선으로 이으면 매듭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90와 270로 꼬인 두 구조의 매듭의 고리 수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즉 ...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도입되며 한글 글꼴의 큰 변혁이 일어났다. 세로쓰기와 가로쓰기는 균형을 맞추는 기준선 자체가 달라 세로쓰기용 글꼴을 가로쓰기에 그대로 쓰면 비율이 맞지 않는 어색한 형태가 만들어진다. 바탕체와 돋움체를 개발한 글꼴 디자이너 최정호가 1970년 사진식자로 찍어내는 가로쓰기 글꼴을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는 전문가도 있었다.하지만 가독성을 평가할 수 있는 과학적인 기준과 기술이 개발된 현재는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2005년 미국 알린 알 고든 연구소 연구팀은 세리프의 유무와 크기에 따른 읽기 속도 차이를 실험했다.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여러 단어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옹당촌에 옹고집이 둘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기록돼요. 감광판은 사진 필름과 같아요. 필름을 인화하면 사진이 출력되듯, 감광판에 기준파와 같은 레이저 빛을 쏘면, 새겨진 간섭무늬 모양대로 빛이 반사돼요. 그러면 처음 감광판에 기록된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 물체의 모습이 입체로 나타나요. 1948년에 영국의 물리학자 데니스 가보르는 ... ...
- 플라스틱 탄생 & 죽음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한다"재활용할 수 없는 플라스틱도 있다"플라스틱은 열을 가했을 때 녹는지, 타는지를 기준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나뉜다. 멜라민, 에폭시 등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녹지 않기 때문에 재활용할수 없다. 트라이탄, 실리콘 등은 재활용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일반쓰레기로 ... ...
- 약점 극복한 재생에너지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풍력과 태양광 ESS 시설이었습니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2월 기준 ESS가 보급된 사업장은 총 1622곳으로, 이 가운데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해 ESS를 이용하는 사업장은 897곳입니다. 사업장 중 1.73%에서 화재가 난 셈 입니다.ESS 화재 위험은 리튬이온배터리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 ...
-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뤄야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한국은 아직 탄소배출권 거래가 활발하지 않다. 2021년 할당배출권(KAU21)가격은 8월 13일 기준 1t당 2만 6000원 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6월에는 1만원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전의찬 세종대 기후환경융합센터장은 “가격이 너무 낮아 탄소배출권을 팔려는 기업이 없다 보니 거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세계 네 번째로 구축한 코로나19 영장류 감염 모델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곳”이라고 말했다. BSL은 감염위험도가 높은 미생물을 연구·실험할 수 있는 시설의 등급 기준으로, 1등급에서 4등급으로 갈수록 위험한 미생물을 다룬다.새로 개발된 신약후보물질은 판매되기 전 부작용이나 독성, 효과 등을 알아보는 여러 차례의 검증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동물 모델을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