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방위원회
국방위
원회
위원회
소사이어티
d라이브러리
"
국방
"(으)로 총 59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고분자학회회장 김점식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만드는 버릇이 남아 있는 것같습니다.”김교수는 1952년 서울대 화공과를 졸업하고
국방
부 과학기술연구소와 국립공업연구소를 거친 뒤 71년부터 한양대에 재직하고 있다. 30여년간을 연구소와 대학에서 고분자 연구에 매진해온 셈이라 연구풍토에 대해서도 느낀 점이 많을 것이다.“대학교로 옮겼던 ... ...
PART2 사무자동화(OA) 서류없는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대학과 연구소간의 교육과 연구업무를 협조할 수 있는 교육연구망, 국토방위를 위한
국방
망 및 치안유지를 위한 공안망으로 이루어진다.특히 행정망은 대인 서비스 기능에 관한 행정, 지방기관의 업무계획과 실행 및 추진현황의 중앙기관보고 등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필요한 과제이다 ... ...
스타워즈와 기술혁명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진실이 있다.
국방
을 악마라고 생각한다면 그들의 말은 옳은 것이다. 그러나 나는
국방
을 악마와 동일시하지 않는다. 나는 현재 S.D.I의 자금을 받으며 연구소에서 단파레이저를 연구하고 있다. 상상하지도 못한 훌륭한 하드웨어가 준비되어 있어 나의 연구는 정말 신나는 일이다. 당신은 레이저가 ... ...
미국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소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미국 인공지능과 엑스퍼트스템'을 소개하는 정보산업총서10을 발간하였다.미국
국방
성 전략계획을 중심으로 한 이 총서는 여러방면에서 연구 진행되고 있는 인공지능 분야를 조목별로 분리 수록하고 있다.앞부분에서는 주로 개괄적인 설명과 함께 인공지능 기초분야인 지식베이스 등을 소개하고 ... ...
현대 전자첩보전의 내막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민간인 직위를 갖고 외국에 있는 관계자도 많다. GRU는 소련군참모본부정보부인데
국방
성 참모본부 직속의 첩보기관이다. GRU는 군사전문의 첩보, 공작기관이란 색채가 강하고 기분나쁜 존재다. 무선도청은 GRU가 수행한다. 영국에는 국내방첩을 전문으로 하는 MI 5와 해외에서 첩보활동을 수행하는 ... ...
가장 정밀하다는 PavewayⅡ 리비아공습에서 목표2마일 벗어나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페이브웨이(Paveway)Ⅱ는 '목표 지점에서 결코 벗어날수 없는 정밀성'을 가진것으로 미
국방
부가 자랑했으나 실제는 그렇지 않다는것이 확인되었다.지난4월 리비아 공격때 페이브웨이Ⅱ는 군사기지와 테러리스트훈련소를 목표로 발사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길거리의 차량이나 민간가옥 그리고 ... ...
한국의 항공산업기술은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설계개발 기술습득에 힘써왔다.이렇게 양성된 기술인력은 항공기 제작기술 부분에서는
국방
과학연구소, 한국기계연구소, 한국표준연구소, 군 교육기관등 국내 교육연구기관과 미국의 노드롭사, 휴즈사, 보잉사, 제너럴일렉트릭사 및 미군 교육기관등 해외교육기관에서 모두 5백명이 양성되었다 ... ...
최루탄의 과학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많았으나 요즘은 새들을 목격하기가 힘들어졌다는것이다. 연세대에서 흔히 보이던
국방
색찌르레기 꾀꼬리 흰눈썹황금새 노란때까치 박새 등이 작년경부터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특히 시위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4~6월이 새의 번식기와 겹쳐 더욱 문제가 크다는 것.새는 청각이나 후각이 극도로 ... ...
첩보위성로케트 「타이탄34D」까지폭발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된 것인가. 현재 사진 첩보위성은 KH11이 하나 떠 있을 뿐이어서(수명 앞으로 1년) 미
국방
성은 이번 타이탄 사고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전략공군 1사단장인 '잭워트킨즈' 소장은 로케트의 제조공정에서 기술자들의 고의적인 태업이 있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할 수 ... ...
컴퓨터 사회를 해석하는 필수 도구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개발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시스템공학은 1950년대 미국에서 주로
국방
이나 우주관계의 규모가 큰 시스템을 개발하는데서 시작되었으며 그 후로 기업에 있어서 생산 재고처리시스템과 같은 소형시스템이 적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기술과 과학의 발달로 환경오염문제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