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획"(으)로 총 5,7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큰 영향을 미친다. VGP는 현존하는 척추동물 7만 7000종의 표준유전체를 모두 확립할 계획이다. 1차 결과로 이번 논문을 발표하고, 다음 단계로 약 5000만 년 전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목(order) 수준에서 대표종 260종을 뽑아 표준유전체를 구축하고 있다. 공통조상에서 영장목, 고래목, 식육목 등으로 ... ...
- “과학과 지식 공유 막아선 안 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액세스 운동에 주목할 수 있도록 조만간 사이허브 사이트에 이에 관한 정보를 추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인터뷰를 마치며 그는 “어쨌거나 사이허브는 세계에 많은 질문을 던졌다고 생각한다”며 “사이허브에 사람을 살리는 정보와 인류를 이끄는 지식이 담겨있다는 것만은 분명한 ... ...
- 약자 피해 우려에 지구공학 실험 멈췄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일정에 차질이 생기며 스웨덴 이스레인지우주센터에서 발사하는 계획으로 변경됐다. 이에 따라 실험으로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이 실험을 주도한 미국이 아닌 스웨덴 일대 유럽지역이나 주변 아시아, 아프리카까지 미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스코펙스가 취소되기 두 달 ... ...
- 수중 생태계, 미학의 과학 아쿠아스케이프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있어 비교적 다루기 쉽다. 이끼 역시 자라는 환경에 맞춰 서식 환경을 조성한다.이렇게 계획하고 수집한 수초는 종류와 성장 속도를 고려해 심는다. 천천히 자라는 수초부터 빨리 자라는 수초 순으로 심는다. 대회 출품작은 대개 30~40가지 수초를 4~5차례에 걸쳐서 심는다. 이 작가는 “수초마다 성장 ... ...
- 폴리매스, 궁극의 목적을 향하여수학동아 l2021년 06호
- 프로젝트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 여러분도 명심하게. 그럼 이번 회의를 통해 계획한 폴리매스 갈등 회복 프로젝트를 소개하지! 폴리매스 갈등 회복 프로젝트 ➊좋은 문제 만들기 챌린지 & 매스펀 개편!수학동아가 ‘함풀문’에 올라온 문제 중 단순 문제로 지적받았던 문제에서 매달 한 ... ...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발생한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한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방사성 물질은 불안정한 핵이 안정해지기 위해 높은 에너지의 입자나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물질입니다. 바다로 유입된 방사성 물질은 수산물에 축적되고 인체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정도다. 이처럼 식물세밀화는 호흡이 긴 작업이기에 올해 안에 무엇을 그려야겠다는 계획은 세울 수 없고, 내 생에 어떤 식물군을 그려야겠다는 다짐 정도만 가능하다.이런 이유로 식물세밀화가의 중요한 역량은 그림을 잘 그리는 기술이나 식물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아니다. 식물을 오랫동안 ... ...
- [특집] 겨울잠, 인간도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떨어져도 대사 활동이 줄어들어 식량과 산소를 많이 아낄 수 있을 거예요. Q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겨울잠에서 깨어난 뒤 신체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지 알아보려면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임상 시험을 해야 해요. 겨울잠에서 깨어난 사람들이 얼마나 빨리 깨어나 다양한 활동을 할 ... ...
- [핫이슈] 뮤온의 ʻ흔들림 값’ 예측보다 커 새로운 기본입자 가능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1차 실험결과만 담겨있고 2, 3차 실험은 분석 중, 4차 실험은 진행 중이다. 5차 실험 계획도 세운 상태다. 모든 실험을 마치면 이번 결과를 보다 확실히 밝힐 것으로 기대된다. 김 연구원은 “IBS는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뮤온 입자가 초전도저장링 정중앙에서 돌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담당하고 ... ...
- 인간과 원숭이의 키메라 탄생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이런 기작 중 이종 세포간 의사소통에 관여하는 기작을 분자생물학적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벨몬테 교수는 “그동안 인간과 동물의 키메라는 생성 효율이 극히 낮고 인간 세포가 숙주 종에 통합돼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며 “영장류를 이용하면 인간과의 진화적 거리를 좁힐 수 있을 것”이라고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