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도
사이
틈
중간
동안
d라이브러리
"
도중
"(으)로 총 77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 워드프로세서 어떤 것이 좋을까
과학동아
l
199304
[3] 문단 - 용지와 연계된 문단개념 등장워드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도중
에 엔터키를 누르는 경우 문단을 나눈다. 문단은 다른 말로 단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렇게 직접 엔터키를 누르지 않고도 화면의 오른쪽끝에 글자가 다다르면 자동으로 다음 줄로 내용이 넘어가 줄바꿈이 생기는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03
해 12월 화산학자들과 제작자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에리버스산 탐험에 나섰으나 탐사
도중
'생명선'에 이상이 생겨 중도에 포기하고 말았다. 여기서 생명선이란 단테와 조종실간의 통신망을 뜻한다.인간의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을 탐사시킬 목적으로 제작된 단테의 몸에는 3백60° 전 방향을 ... ...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 조사
과학동아
l
199303
그 때문인지 전날 핼쓱했던 교사들이 기운을 차리고 탐사에 가담했다.이날은 조사
도중
두가지 사고가 있었다. 15번 정점에서 파도 때문에 플랑크톤을 채취한 표본병이 하나 유실됐고 19번 정점에서는 로젯 샘플러를 끌어올리다가 선미에 부딪쳐 채수기가 4개 깨졌다. 몇백만원 상당의 손실이라고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03
실제의 관측상황과 동일한 상태에서 조정한다. 한번 조정을 한 후에도 망원경 사용
도중
에 카메라 등 별도의 부가장치를 부착했을 때에는 관측을 멈추고 수시로 다시 조정을 해야 한다.경통의 무게균형 조정이 끝났으면 이제 경통과 무게균형추와의 무게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주망원경을 수평으로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03
정도니 다른 정부 출연 연구기관에 비하면 효율적인 측면에서 크게 떨어지지요."이야기
도중
에 매우 난처한 표정이 역력하다. 천문학 연구를 다른 첨단과학과 동일한 잣대로 측정하려는 데에 대한 거부감 반, 그래도 국민의 세금을 쓰는 데에 대해 무엇인가를 보답해야 된다는 부담감 반이 엇갈려 ... ...
② 독창적인 문화 깃든 제품 나와야
과학동아
l
199303
미리내가 비밀연구소에서 '샘통의 꿈'이란 프로젝트를 세우고 샘통을 재조립하는
도중
샘통이 이상을 일으키면서 사건은 시작되는데…. 아기자기한 캐릭터들이 등장하고 1백여개의 다양한 스테이지가 나타나므로 가족끼리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액션 퍼즐게임이다. 속편 '슈퍼샘통'도 함께 ... ...
"해양연구의 중요성 실감"
과학동아
l
199303
특히 해양연구에는 건강과 인내심이 우선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탐사에 임하는
도중
문득 '학생들에게 혹시 소홀함이 없었는가' 하고 되돌아보게 됐어요. 배타고 고생하는 것도 연구의 일부분최승일:연구소 하면 먼저 실험실을 연상하는데 1년에 3분의 1가량을 배타고 다니면서 채집하는데 시간을 ... ...
인공수정과 체외수정
과학동아
l
199303
1866년에 마리온심시가 비배우자(다른 사람) 정액을 받아 인공수정을 시도한 일이 있으나
도중
에 유산해 출산에 성공하지는 못했다. 1890년에는 미국의 두 의사가 정액제공자의 정액을 받아 인공수정을 비밀리에 실시한 적이 있다. 이같이 인공수정의 역사는 1백년이 넘는다.정액의 보존은 1960년대부터 ... ...
컴퓨터 명령을 간편하게 처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03
않는다. 그러나 config.sys 파일 안에 break=on 이라고 등록해두면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수행
도중
중단시킬 수 있다(사실은 이렇게 해도 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일단 등록해두면 어떤 프로그램의 끝내는 키를 잘 모를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명령은 도스 프롬프트 상에서 break라고 입력 하면 ... ...
3. 입자·파동 이중성지닌 새로운 실체
과학동아
l
199302
높은 방전관의 음극에서 방출되는 음극선이란 존재였다. 음극선은 직선으로 나아가므로
도중
에 어떤 물체가 있으면 그 물체는 그림자가 생긴다. 1885년에 뻬랭(J. Perrin)은 이 음극선이 음전하를 나르는 것을 보았고 1897년 톰슨(J. J. Thompson)은 음극선의 속도를 측정했다. 이로부터 질량과 전하의 비를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