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혀에 부착하는 방향지시장치과학동아 l2001년 04호
- 크기다. 이 장치에 연결된 비디오 카메라가 보내는 전기신호로 혀를 자극해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만약 사용자가 왼쪽으로 가야 한다면 방향지시장치가 사용자 혀의 왼쪽을 자극해 방향을 지시한다. 장치 시험에 참여한 지원자는 “혀를 자극하는 것만으로 방향에 대한 정보를 뇌에서 ...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과학동아 l2001년 04호
- 한다. 빠타타(Patata, 인디언 말로 감자라는 뜻)라는 제목으로 감자의 역사와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단장은 감자에 대해 “고비사막과 같은 오지에서는 세끼를 연명하는 수단이지만, 선진국에서는 패스트푸드점의 포테이토칩”이라는 양면성을 가진다고 설명했다.정단장이 세계 최초로 ... ...
- 농구 막슛 65% 성공률의 비밀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던진 슛은 모두 성공된다. 이들 세경우를 비교해보면 최소력 슛의 장점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최소력 슛이 성공하는 유일한 궤도는 아니지만 직선형이나 투사각이 비교적 큰 경우보다 성공률이 더 높다.에드워즈의 막슛이 최소력 슛이든 아니든 간에 골인을 목표로 한, 투사속력과 투사각도의 적절한 ...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왜 그럴까. 이를 통해 어떤 새로운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것일까. DNA 이중나선을 푸는 효소인 helicase 연구에 적용된 예를 살펴보자. helicase는 DNA 신진대사에 매우 중요하다. 이 효소는 연료 분자인 ATP를 사용해 DNA를 따라 움직이며 이중나선을 풀어주므로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협력 게놈 연구소 (www.jgi.doe.gov)로렌스 리버모어 연구소, 로렌스 버클리 연구소, 로스알마모스 국립연구소가 미 에너지성의 지원을 받아 1996년도부터 협력연구소로 다국적팀에 참여했다.2000년 4월에 5번, 16번, 19번 염색체는 모두 이 협력연구소에서 완성됐다. 1999년 10월부터 새로 협력관계를 맺은 ...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해당 단백질의 구조를 만들어 약물을 설계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입체 구조가 알려진 수많은 단백질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면 새로 밝혀진 단백질의 구조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그동안 많은 연구가 축적돼 있는 박테리아, 효모, 초파리 등의 단백질 ...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크다. 특히 물의 이런 특성은 생명현상과 직결되는데, 사람 몸의 70%가 물이라는 데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물은 생물체의 성분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체내의 여러 물질을 녹일 수 있는 탁월한 용매다. 또한 물은 지구 표면의 상당 부분을 덮고 있으며 대기의 성분(수증기)이자 기상 현상(구름, 눈, 비 ...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많아지고, 면역을 억제하거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호르몬의 양은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웃는 동안 인체의 ‘진통제’라 불리는 엔돌핀이 왕성하게 분비돼 걱정이나 스트레스를 줄여준다는 현상도 발견했다. 체내 악성물질이 자리잡지 못하도록 몸에 존재하는 자연살해(NK)세포의 활동 ...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큰 문제가 아니었겠지만 공교롭게도 ‘욕조’에는 아직 코팅이 씌워지지 않은 상태였다. 알코올이나 벤젠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해 립스틱 자국을 녹이는 기존의 복원법으로는 그림을 완전히 복원할 수 없다. 녹은 립스틱이 다공성의 캔버스 천 속으로 더욱 깊이 침투해 보기 흉한 핑크빛 자국이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알란 맥삼과 웰터 길버트, 영국의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거(왼쪽)는 DNA 염기 배열을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게놈 연구가 본궤도에 오른 것이다. 한편 바이러스의 DNA가 최초로 해독됐다.1984년 미국 시터사에 있던 캐리 멀리스는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이라 불리는 기계를 개발됐다. PCR ...
이전5855865875885895905915925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