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하나하나 자신이 개발한 실험 문제를 설명하는 박 교수의 목소리는 진지했다. 직접
사진
을 찍고 편집까지 도맡으며 공을 많이 들였다고 한다. “학생 때부터 서울 청계천 일대를 누비며 ‘007 회로 제작집’ 같은 전자부품을 사 모으고 직접 동조회로를 제작했어요. 그런 경험이 실험을 통해 문제를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음식을 촬영할 때 붉은 빛을 비춘다. ‘스팸’이라는 햄 통조림 포장에는 청색을 고기
사진
의 배경으로 사용하고 있다. 붉은 색과 보색인 청색을 함께 대비해 서로의 색을 더 강하게 보이도록 한 것이다. 파란 배경 덕에 붉은 고기는 더 붉게 느껴진다. 푸른 채소로 만든 김치가 빨개야 맛깔스러운 ... ...
"세상에서 제일 잘 튀는 공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해. 이 탄성변형 덕분에 용수철은 외부의 힘을 에너지로 저장할 수 있어. 진현호 친구는
사진
에서 보듯이 공을 바닥에 튀기지 않고 손으로 꾹 눌렀다가 놓았어. 그때 압축된 용수철은 에너지를 내부에 저장했다가 손을 놓는 순간 한꺼번에 밖으로 뿜어 내게 돼. 이런 용수철의 성질을 효과적으로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유럽 전역이 왕정 찬성파와 반대파 간의 충돌로 혼란의 소용돌이에 휩싸였던 19세기 중엽, ‘깨어있던’ 몇몇 귀족들은 미지의 야생을 찾아 속세를 떠났다. 가깝게는 검은 땅 아프리카에서 수천년 간 발길이 끊긴 아마존에 이르기까지. 숨막히는 열사의 사막과 축축한 삼림을 통과하며 죽음과 맞서 ... ...
신문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크게 확충했다. 이 회사 역시 지난해 쓰나미가 동남아시아를 강타했을 때 신문에 쓴
사진
의 대다수가 동남아 현지에서 관광객들이 휴대전화로 찍어 보낸 것이었다. VG 논설주간 토리 페더슨은 “예전엔 대형 참사 취재를 위해 헬기와 취재장비를 확보하는 게 관건이었지만 이젠 카메라폰을 가진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항생제 발견에 맞먹는 사건이다.”세계적 복제 전문가인 미국의 섀튼 교수(
사진
오른쪽)는 황 교수팀의 성과를 이렇게 격찬했다. 미국 USA투데이, 영국 BBC 방송, 일본 아사히신문 등 세계 각국의 언론은 앞다퉈 황 교수의 성과를 톱기사로 대서특필했다. BBC는 “무엇보다 환자의 몸 안에서 부작용을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흡입하면 급성 중독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주로 니스(페인트)나래커의 제조, 도료세척,
사진
필름의 제조 등 작업현장에서 볼 수 있다기중농도(氣中濃度) 200~300ppm으로 특이한 강한 냄새가 나며 500ppm이 넘으면 눈 · 코 · 목에 자극이 생긴다 1,000ppm 이상에서는 두통 · 구토가 오고 더욱 농도가 높아지면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셔터속도를 빠르게 하고 여러 개 대상을 올려보며 찍으면 된다. 특히 흥겨움을 유발한
사진
은 카메라를 아래 방향으로 해서 찍은 경우가 많았다.화각 | 렌즈를 통해 보이는 각과 시야, 넓이를 말한다. 초점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거리가 짧을수록 화각은 넓어진다. 카메라와 비교했을 때 눈의 ... ...
구름의 멋진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도 한다. 주로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고 기온이 낮은 부분에는 얼음이 섞여 있기도 하다.
사진
은 고도가 높은 곳에 뜬 적운으로 모양이 특이하다. ❷층적운은 층쌘구름이라고도 하며 물방울로 이루어진 구름으로 판자 모양의 구름과 둥근 덩어리 구름이 층을 이루듯 떠 있다. ❸권운은 가장 높은 ... ...
오리온 성운의 화난 아기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X선을 쏟아내는 모습을
사진
으로 찍었다. 연구팀은 X선 망원경을 13일 동안 노출해 이
사진
을 찍었다.태어난지 얼마 안된 젊은 별은 성숙한 별보다 훨씬 더 강한 X선을 방출한다. 우리 태양의 가장 큰 폭발에서 나오는 X선보다 훨씬 더 강한 규모다.젊은 별의 표면에서 강력한 불꽃이 일어나면서 X선이 ... ...
이전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