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9,84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격성 유전자는 뇌·심박동과 관련” 학부생 주도 연구로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더욱 가치가 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이창훈 기초학부 교수와 임승영
실험
동물센터 전임기술원, 정진주 웰에이징연구센터 연구원팀이 공격성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와 심장박동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밝히고 기존의 공격성 심리검사를 보완할 방법을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고 2일 ... ...
문어빨판 모방 패치소재 개발한 방창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4.03
등 다양한 표면 환경에서 모두 높은 점착력을 유지했다. 또 1만회 이상 반복적인 탈부착
실험
에서도 성능을 유지했다. 게다가 점착 표면에 오염물을 남기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2017년 6월 실린 바 있다. 방 교수는 “습한 환경 및 피부 표면에서 끈적이는 ... ...
非신경세포로 손상된 말초신경계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한다. 연구팀은 신경계 관련 유전자가 사람과 80% 가량 비슷한 제브라피시를 이용해
실험
을 했다. 말초신경계가 손상된 제브라피시에 희소돌기신경교세포를 이식한 결과, 손상된 부분이 일부 회복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를 이끈 새라 쿠시나스 세포생물학및신경과학과 교수는 ... ...
칼 안대고 휜 코·각막·시력 교정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변형된 형태로 단단하게 만들 수 있다. 연구진은 살아 있는 토끼의 귀를 대상으로
실험
을 진행했다. 원하는 모양으로 귀의 연골을 휘어줄 틀을 3D 프린팅으로 찍어낸 뒤, 토끼의 귀에 끼웠다. 전류를 흘려보내지 않았을 때에는 틀을 제거했을 때 귀가 원래대로 돌아왔다. 하지만 전류를 ... ...
인류 기술 진화의 원동력은 '커닝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진행했다. 중간에서의 차이는 있었지만 첫 시도의 속도와 마지막 시도의 속도는 이전
실험
과 결과값이 같았다. 이론에 대한 이해도도 여전히 4~5점대로 전 참가자에 걸쳐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데렉스 연구원은 “다른 사람을 모방하는 능력은 개인이 발견할 수 없는 기술의 진화를 가능하게 ... ...
액체헬륨 가격은 왜 치솟았나…장기화 땐 핵융합·발사체 사업 차질 불가피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비롯해 핵융합, 입자물리학, 저온물리학 등 초전도 자석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연구 및
실험
현장에서 액체 헬륨이 활용되고 있다. 우주로켓의 발사 전 산화제로 사용되는 액화 산소를 액화시키는 데도 기체 상태지만 저온 헬륨이 활용된다. 문제는 미국이 전세계에서 쓰이는 액체 헬륨 대부분을 ... ...
지금까지 이런 게놈은 없었다…컴퓨터로 디자인한 인공게놈 첫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실제로 이 게놈을 가진 생명체가 탄생했을 때 생존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추가
실험
을 했다. 카울로박터 크레센투스의 게놈에, 이번에 합성한 카울로박터 에텐시스 2.0의 유전자(인공 유전자)들을 끼워 넣은 뒤 카울로박터 크레센투스의 유전자들이 발현하지 못하도록 차단한 것이다. 그 결과 ... ...
청소년기 음주 습관은 뇌 발달 방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오리건보건과학대 공동연구팀은 성장기 또는 갓 성인기가 된 붉은털원숭이를 대상으로
실험
을 진행했다.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뇌의 부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을 때보다 술을 마시는 원숭이의 뇌가 더디게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과음을 한 ... ...
美 서부 가뭄 유발 ‘워커순환’ 강화 원인 지구온난화 아닌 ‘자연변동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결과 강화 경향이 도출됐다. 또 동일한 외부 조건을 입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기후모델
실험
결과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기후시스템 내 자연변동성이 최근 워커순환 강화 경향의 주 원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정의석 IBS 기후물리연구단 연구위원은 “이번 ... ...
‘뇌를 닮은 컴퓨터’에 쓰일 '뉴로모픽'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1
뒤 이를 이용해 인공지능 신경망을 만들었다. 이 신경망으로 숫자를 구분하는 패턴 인식
실험
을 한 결과, 숫자를 제대로 인식하는 성공률이 90% 이상으로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포스텍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시냅스 칩의 구조(위)와 이를 이용해 이미지 인식을 하는 사례(아래). 사진 제공 포스텍 ... ...
이전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