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태계과학동아 l1993년 04호
- 미친 사람들'로만 모여 있어 이미 아마추어 과학의 수준을 넘어섰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전체 회원 34명 가운데는 외국인도 2명이나 가입돼 있는 데다 그간 이들이 펴낸 '경기도 접류목록'과 '강원도 접류목록'은 프로도 하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그러나 이들은 나비를 봄으로써 시를 읊고 ... ...
- 바이오스피어Ⅱ 위기과학동아 l1993년 04호
- 뒤를 받쳐주고 있었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었다. (그림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전체 규모에서 도시는 이산화탄소를 생산하고 삼림 습지 바다 농경지는 그 이산화탄소를 자원 삼아 광합성을 함으로써 도시로 식량을 공급하는 순환과정을 통해 균형을 이루고 있다.그러나 비교적 적은 규모인 생물권 ... ...
- 행렬로 풀어본 AIDS 전파속도과학동아 l1993년 04호
- 비율은 0.3-동전을 두번 던져 계속 뒤가 나올 확률=0.3-0.25=0.05로 주어지기 때문에 전체 설문응답자 중에서 5%가 습관적으로 항문성교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게 된다.수학과 AIDS, 통계학과 AIDS, 얼핏 보면 전혀 어울리지 않은 단어처럼 생각되지만 HIV의 감염속도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수학과 ... ...
-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과학동아 l1993년 03호
- 긴자루 끝에 달리고 둥근 심장형이다. 길이와 지름이 각각 9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인데, 전체가 딱딱하며 연잎처럼 물에 젖지 않는다.4~5월에 연하고 붉은 자주색 꽃이 피며 지름 2cm의 화경 1~2개가 잎보다 먼저 나와서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4개의 꽃받침은 피침형이고 6~8개의 꽃잎은 도란형(倒卵形 ... ...
-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과학동아 l1993년 03호
- 인간의 힘은 무궁무진하다. 거대한 쇳덩이를 하늘이나 우주로 날아가게 할 수 있고, 지구 전체를 파괴할 수 있는 힘도 있다. 인간의 정신과 마음이 이룰 수 있는 일이 얼마만큼인지, 또는 어디까지인지 그 끝을 알 수가 없다.언어는 마음의 산물'마음이 무엇인가'라는 문제는 물론 아주 오래 전부터 ... ...
-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꽃의 일생과학동아 l1993년 03호
- 크게 세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잘게 갈라져 있다.윗부분에 잎처럼 생긴 총포잎(화서 전체의 기부를 싸고 있는 잎)이 세개씩 두루 달려 있고 그 중앙에서 5, 6개의 꽃대가 산형으로 퍼진다. 이 꽃대 끝에 흰꽃이 한개씩 달려 있는데 이 꽃의 이름은 바람꽃이다. 대개 바람꽃은 봄철에 피지만 설악산정의 ...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과학동아 l1993년 03호
- 6등급 정도로 꽤 밝고 상당히 밀집된 성단이다. 중앙 밀집도는 평방 파섹당 26개의 별, 전체적으로 0.75개의 별이 있다. 자세히 관측해보면 삼각형 모양의 별들이 새가 날개를 펼친 모양을 하고 있고, 성단의 가운데에는 동서로 갈라진 암흑대와 여러개의 빈 공간들이 있다.행성과 지구의 위치■내합 ... ...
- 컴퓨터 명령을 간편하게 처리하려면과학동아 l1993년 03호
- 에디터(줄단위로만 편집을 할 수 있는 것)와 풀스크린 에디터(화면 전체에 커서를 움직여 전체 화면에서 편집할 수 있는 것)가 있다.도스 사용자들이 애용하던 edlin은 말 그대로 행단위 편집기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용하기 불편한 행단위 편집기보다 화면 단위로 편집할 수 있는 edit 같은 풀스크린 ... ...
- 박쥐, '해로운 동물' 오해로 멸종위기과학동아 l1993년 03호
- 흔히 광견병이라고 한다)의 주감염원이고 박쥐에 의해 공수병이 전파되는 경우는 공수병 전체발생건수의 0.5%에 불과하다고 한다.'박쥐엄마'들은 또 박쥐가 포유류 중에서 유일하게 야행성 해충을 잡아먹는 이로운 동물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박쥐가 줄어드는 것은 곧 밤에 나돌아다니는 해충의 ...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3년 03호
- 내지 않는 대신 전파를 주로 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이 보고 있는 밤하늘은 전체 우주 모습의 일부에 불과하다. 우주의 반쪽을 찾아서1932년 미국 벨연구소의 잔스키(Jansky)에 의해 처음으로 우주에서 방출되는 전파가 관측되었을 때만 해도 그 결과는 천문학자들의 관심거리가 되지 못했다. ... ...
이전5845855865875885895905915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