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수 있도록 통로를 만들고, 외부자장에 반응해 자철광 결정들이 진동한다면 여러가지
생물
학적인 영항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이 영향에는 암도 포함된다.커시빙크 박사는 자철광 결정으로 인간의 뇌에 대한 다른 신비로운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방향감각이 좋은 ... ...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지구표면의 균열로부터 발생하는 유황을 먹고사는 박테리아를 주식으로 삼는 희한한
생물
들을 연구하기도 한다.우리 스스로는 이런 일을 할수가 없다. 그러나 로봇이 인간이 갈수 없는 영역을 탐험하든지 아니면 우리의 일상생활을 도와주는 것 뿐이든지 간에 만약 로봇이 우리가 보는 것처럼 볼 수 ... ...
머리좋은
생물
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배우기도 한다. 최근 나폴리동물연구원의 연구원들은 문어가 보다 큰 뇌를 가진
생물
들만이 갖는 능력이라고 믿어왔던 보고 배우는 능력이 있는지 실험을 해 보았다. 그런데 자기무리와 잘 어울리지도 않고 사는 이 비사교적인 문어가 다른 문어들이 성공적으로 하는 행동을 관찰한 후 이 시험을 ... ...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따라서 cDNA 특허여부에 관계없이 '유전자전쟁'은 계속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처럼 현재
생물
학과 생명산업의 주류가 급격히 변모해가면서 엄청난 속도로 진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현실은 어떤가.cDNA를 찾아서 분석하는 단위기술들은 국내에서도 지난 10년간 축적돼 왔다. 현재로선 기술적으로 ... ...
리우 민간환경단체 '92 지구포럼'현지 취재 "시민의 힘만이 지구를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것을 주장했고 이에 앞서 미국의 환경보호주의자 1백여명은 리우시내에서 부시행정부의
생물
다양성협약 서명거부방침에 항의하는 가두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6천여 시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부시가 미국인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쓴 플래카드를 들고 시내를 돌면서 미정부에 대해 ... ...
3. 생체 리듬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컴퓨터로 조절이와 같은 바이오리듬은 생체리듬과 구별되어야 한다. 생체리듬은 모든
생물
에서 볼 수 있는 현상으로 곰이 겨울잠을 자는 것이나 철새의 이동이 그 예다. 인간의 생체리듬에는 24시간 주기리듬, 일내(日內)리듬, 초일(初日)리듬이 있다. 24시간 주기리듬으로는 체온과 내분비리듬을 들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생산된 히루딘을 곧 상품화할 예정인데 여기에 국내의 몇몇 제약업체와 옛소련 NPO
생물
연구소가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훌러렌 양산법 세계최초로 개발-종전보다 4~8배 생산량 늘어'꿈의 신소재'라고 일컬어지는 훌러렌(${C}_{60}$)의 대량생산법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소헌영 조양구박사팀에 의해 ... ...
로키 고원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얕아지는데 따라 해안(호수호안)의 높이가 달라져 단구지형이 형성됐다. 아울러
생물
화석이 산출되고 돌석유 즉 '오일셰일'이 만들어졌는데, 연대측정결과 4천9백만년 전의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내륙호수를 연구함으로써 많은 지하자원과 석회층 튜파(tufa), 수십m 두께의 자갈층 등을 발견하게 ... ...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액체 헬륨으로 냉각된다고 한다.그러나 전파망원경이 작동을 하면 그 주변에 있는
생물
체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어쩌면 7ha 이상의 지역에서 비정상적인 성장을 하는 난초와 베고니아를 보게 될지도 모른다. 이 전파망원경이 자그마치 4만5천W의 전력을 내게 되므로 그 주변이 엄청나게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는 "1℃ 정도의 온도가 상승하면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전체종의 4분의 3에 해당하는
생물
들이 개체 수 감소를 경험하게 되며 식물종은 약 7백 종 정도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한다.지구환경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가 전 세계차원에서 결집되고 위기상황들에 대한 정보가 속속 보강되면서 ... ...
이전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5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