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과학동아 l1991년 10호
- 매우 좋다고 하겠다. 해저광케이블망우리나라에서는 1977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소가 주축이 되어 광통신 기술을 개발해 오고 있다.1979년 광섬유 한가닥에 전화 6백72회선을 실어 보낼 수 있는 45Mb/s 방식의 광통신시스템 개발에 성공했고, 1984년에는 전화 1천3백44회선을 실을 수 있는 90Mb/s 시스템, ...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과학동아 l1991년 10호
- 천문우주과학연구소로 확대 개편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동안 천문우주과학연구소는 40여명의 연구인력을 확보하고 대덕전파천문대의 14km전파망원경을 중심으로 각대학께서 하기 어려운 대형연구과제를 소화해내고 있다. 또한 현재 건설중인 1.8m 광학망원경이 건설되면 그동안 상대적으로 크게 ...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과학동아 l1991년 09호
- 기계공학적인 기술로 만들어진 추적가능한(steerable) 최대 전파망원경은 독일 막스 프랑크 연구소의 직경 1백m 망원경이다. 같은 기술로서 월면에서는 어려움 없이 직경 5백m 전파망원경이나 직경 16m의 광학망원경을 만들 수 있다. 우주 공간에서 다루어야 하는 소위 무중력(zerogravity)보다는 약한 월면 ... ...
- 열기 시들해진 제5세대 컴퓨터 프로젝트과학동아 l1991년 09호
- 컴퓨터계획은 82년 6월 일본 통산성이 '타도 미국' '타도IBM '을 외치며 대학 전자기술총합연구소(전총연) 전전공사 기업등에서 1백여명의 핵심인력을 모아 10년 계획으로 추진했던 프로젝트 컴퓨터에 있어서 제1세대는 진공관, 제2세대는 트랜지스터, 제3세대는 집적회로, 제4세대는 초대규모집적회로 ...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과학동아 l1991년 09호
- 현존 세계 최고빌딩은 시어즈타워(4백43m). 10년이내에 5백m벽이 뚫리며, 2050년에 백두산을 내려다볼 4천m급 수직도시가 구상되고 있다.'고층건물' 혹은 '초고층건물' ... 예상되며 초고강도콘크리트도 쓰일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는 다케나카(竹中)건설회사와 환경시스템연구소가 추진중이다 ...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과학동아 l1991년 09호
- 것과 관입암맥 경계면의 열변성 흔적. 이 두가지 발견물은 고향으로 돌아간 뒤 대학연구소에 X선 분석을 의뢰, 정확한 성질을 밝히기로 했다.탐사 제3일오전중에 저동의 자연에어컨과 봉래폭포 탐사가 있었고 일부는 어제 배로 그냥 지나쳐온 가두봉 지역을 다시 방문, 한반도에서는 유일하게 이 ... ...
- 유인탐사를 위한 전초전과학동아 l1991년 09호
- 일본이 확정한 1990년대 유일한 태양계 탐사 계획은 루나A(Lunar-A)다. 일본의 우주과학연구소가 세운 이 계획에 따르면 루나A로 하여금 달을 선회케 한 후 이 우주선에서 3기의 침투선을 발사, 달 내부로 침투시켜 지진계와 열유량계 등으로 달의 내부 구조를 알아낸다는 것이다.1990년대 태양계 탐사의 ... ...
- 1. 트랜지스터 1백만개 이상 집적과학동아 l1991년 09호
-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집적도와 속도가 향상됨으로써 PC가 워크스테이션이나 중대형컴퓨터의 성능에 육박하고 있다.마이크로프로세서 없이 PC를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명 및 출현이 곧 바로 PC의 태동으로 연결됐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현 이전에 사람의 머리에 해당하는 ... ...
- 실리콘밸리의 아침과학동아 l1991년 09호
- 프로야구만큼이나 엎치락뒤치락했다.실리콘밸리의 창세기는 이렇게 시작된다. 벨연구소는 쇼클레이 반도체회사를 낳고, 쇼클레이 반도체회사는 페어차일드를 낳고, 페어차일드는 내셔널 세미컨덕터 인텔 AMD를 낳고…. 이렇게 하여 실리콘밸리의 계보가 형성된 것이다. 땅을 제공한 터먼과 열매를 ... ...
- 4. 「타워링」의 비극이 현실화할지도…과학동아 l1991년 09호
- 竹中)회사를 중심으로 고층아파트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으며 그 회사 환경시스템 연구소에서는 높이 1천m의 스카이시티 1000 프로젝트를 내놓고 있다.이러 한 초대형구조(megastructure) 아이디어는 1950년대와 60년대 초반까지 일본, 유럽에 꽤 유행했다. 그후 60년대말 사회문제, 70년대 환경문제와 경제의 ... ...
이전5835845855865875885895905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