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263건 검색되었습니다.
“문·이과 통합? 적분 기호 모르는 공대생 수두룩할 것”
과학동아
l
2014.06.10
“요즘 이공계 대학생의 기초 수학 능력이 저조하다”고 밝혔다. 정 단장은 “지방
국립
대의 한 이공계 학생이 1/2+1/2의 값을 2/4라고 대답했다”면서 “현재 과학·수학 교육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현재 과학·수학 교육이 홀대 받고 있다”면서 교육과정 개정에 ... ...
세포 ‘안테나’ 고장 냈더니 발가락이 7개
과학동아
l
2014.06.10
특정 유전자가 없는 생쥐(오른쪽)는 섬모 기능에 이상이 생겨 일반 생쥐(왼쪽)보다 발가락이 많아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 동국대 제공 국내 연구진 ... 발생하는 질병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5월 22일자에 실렸다. ... ...
도시 개구리의 짝짓기 노하우
과학동아
l
2014.06.08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을 활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동물학자인 유테 커 린
국립
대만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도시에 서식하는 수컷 개구리들이 도로 양 옆에 파놓은 빗물 배수로를 확성기로 이용해 구애활동을 펼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런던동물학회지’ 5일자에 발표했다. ... ...
진딧물과 박테리아의 불편한 동거
과학동아
l
2014.06.04
체내에 기생하는 박테리아가 식물의 방어기작을 작동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 2일자에 발표했다. 진딧물은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는 해충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식물도 일방적으로 당하는 것이 아니라 진딧물이 싫어하는 화학물질을 분비하는 방법 등으로 방어를 ... ...
이것 개발했더니 보톡스 대체물질까지?
과학동아
l
2014.06.02
전영수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 - 한국연구재단 제공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신경전달물질 분비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 효능 개선이나 대체물질 개발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
학술원회보(PNAS)’ 5월 1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물고기의 아가미 주름, 그냥 있는 게 아니었네
과학동아
l
2014.06.02
주름 크기가 산소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교환하기 위한 구조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5월 2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물고기 아가미의 가장 기초가 되는 구조인 ‘새판’의 배열 간격이 물고기 종류나 크기에 상관없이 40μm(마이크로미터) 내외라는 사실에 주목했다. 0. ... ...
세월호 침몰, 지하철 화재…재난 막는 기술은?
과학동아
l
2014.05.30
이후 토론이 이어졌다. 토론에는 정광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장과 여운광
국립
재난안전연구원장, 오성남 연세대 지구환경연구소 전임연구원, 임동화 DNV-GL Korea Safety & Risk 매니저, 안현실 한국경제 논설위원이 패널로 참여했다. ... ...
KIST, 故 최형섭 박사 10주기 추모식 열어
과학동아
l
2014.05.30
KIST)은 2004년 별세한 고(故) 송곡 최형섭 박사의 10주기 추모식을 29일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추모식에는 김시중 전 과기부 장관 등 과학계 인사와 KIST 동문회 박원훈 회장, KIST 원내 인사 등 전ㆍ현직 과학기술인 60여명이 참석했다. 최 박사는 1966∼1971년 KIST 초대원장을 ... ...
3D 얼굴 모델링, 그래핀 분리막 "기초 연구가 돈 되네"
과학동아
l
2014.05.28
한 장만 있으면 누구나 3차원(3D) 애니메이션의 캐릭터가 될 수 있습니다.” 27일 경기
국립
과천과학관에서 열린 ‘대형 연구개발사업 성과 기업 매칭 데이’에서 가장 먼저 소개된 성과는 안상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영상미디어연구센터장팀이 개발한 3차원 얼굴 모델링 및 애니메이션 ... ...
물렀거라~ 에볼라바이러스 잡는 백신 나오나
과학동아
l
2014.05.27
가장 가까운 동물인 침팬지에게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백신을 만들고 그 결과를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2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에볼라바이러스 백신 연구에 착수한 까닭은 2007년 아프리카 고릴라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수가 이 바이러스로 목숨을 잃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미 ... ...
이전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