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도양단
양단
d라이브러리
"
일도
"(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도시 n개를 단 한 번만 방문하고 출발점으로 돌아 오려고 한다.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 사이의 거리가 모두 정해져 있을 때 최소 비용이 드는 이동 경로는 무엇일까?’ 문제만 봐서는 안 어려워 보이지만 ‘최소 비용’이라는 말 때문에 외판원 문제를 해결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아주 좋은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곽승재 주장을 만나기 위해 찾은 퍼즐 국가대표팀 훈련장. 인터뷰에 앞서 기자도 국가대표 선수와 똑같이 제한시간 40분 동안 스도쿠 사전 테스트 문제에 도전해 봤다. 클래식 스도쿠 하나를 푸는데 15분을 허비한 탓에 8문제 중 3문제밖에 풀지 못했다. 그렇다면 곽 주장은? 8문제를 10분 만에 모두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첫 번째로 소개할 로봇은 마치 종이처럼 접히는 로봇이에요. 로봇의 관절을 종이접기 이론을 활용해 만드는 것이지요. 종이접기는 점이나 선, 면, 공간 등의 관계를 연구하는 기하학의 재미있는 연구 주제 중 하나예요. 로봇에 종이접기 이론을 활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마지막으로 소개할 하이라이트는 거대로봇이에요. 아래 왼쪽에 있는 사진을 보세요. 이 로봇은 우리나라의 로봇제작 기업인 한국미래기술이 개발한 ‘메소드-2’라는 거대로봇입니다. 마치 영화 아바타나 매트릭스에 등장하는 2족 보행 로봇과 정말 비슷하지 않나요? 실제로 사람이 조종석에 타서 ... ...
[DJ CHO의 롤링수톤] 핑크 플로이드의 ‘달의 어두운 면’ 프리즘이 만든 무지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1960년대 핑크 플로이드는 심오한 가사와 이전에는 들어보지 못한 음악 장르를 들고 나옵니다. 그러나 곧 이 무겁고, 어둡고, 난해해 보이는 음악으로 대중문화사를 흔들어 놓습니다. 특히 끊임없이 회자되는 앨범 ‘벽’은 최고의 음악을 넘어 작품으로 칭송받지요. 이 앨범은 록 오페라 형식을 띠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싸움은 치열했지만, 애초에 경비로봇의 수가 부족했다. 연구원들은 이미 어디론가 도망갔는지 아무도 보이지 않았다. 하림을 뺀 다른 아이들도 조우진을 따라 전부 도망친 뒤였다. 하림은 그 뒤를 따라가는 척하다가 슬쩍 빠져나와 안전한 곳에 몸을 숨기고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경비로봇은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용각류는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먹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그렇다면 용각류는 돌을 우연히 먹었을까요? 아니면 일부러 삼킨 걸까요?용각류들이 위 속에 지녔던 ‘위석’ ... ...
Intro. 北 핵실험으로 요동치는 백두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백두산이 분화하면 중국과 남북한뿐만 아니라 러시아, 일본, 나아가 전 세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9월 3일 북한의 6차 핵실험 도발 이후 백두산의 움직임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백두산 연구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꼽히는 류자치(劉嘉麒) 중국과학원 원사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국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1년 만에 큐비트를 5배 이상 늘릴 수 있을까. 지금까지 구글의 발전 속도를 보면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3사 가운데 구글은 양자컴퓨터 개발에 가장 늦게 뛰어들었다. 2013년 캐나다 벤처인 디웨이브(D-wave)가 개발한 512큐비트의 ‘디웨이브2’를 구매했다. 그런데 디웨이브는 연산 성능이 처음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10월 4일. 여느 때와 다름없는 수요일 오전이었다. 필자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있는 의학연구위원회(MRC·Medical Research Council) 산하 분자생물학연구소(LMB·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에서 오후에 있을 전자현미경 실험을 위해 시료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때 갑자기 복도 여기저기서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
이전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