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카드 6개를 분석한 결과 고층대기 방전현상으로 추정되는 빛기둥 데이터가 여러 개
발견
됐다. 박 교수팀은 방전현상이 전개되는 양상을 ms(밀리초, 1ms=1000분의 1초) 단위로 분석하는 과정을 끝내면 이를 논문으로 발표할 예정이다.우주에서도 통한 IT강국의 면모러시아 가가린 우주센터와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잡는 데 이용한다.아시아(몽골, 중국)에서 뼈 화석이
발견
됐고 국내에서는 발자국 화석이
발견
됐다.다큐에서는 점박이 동생 하나를 죽인다.뉴질랜드에서 긴 막대로 물을 치며 배경을 촬영하고 있다.커다란 공룡이 물을 먹을 때 튀는 물방울을 연출하는 장면이다.다큐 ‘한반도의 공룡’의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성공해 구조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비활성상태인 로돕신과 상당히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
했습니다. 활성상태가 돼도 구조에 큰 변화는 없을 거라던 관련 연구자들의 예상이 틀린 것이죠.” 그 뒤 최 교수팀은 빛의 자극이 신경신호로 전달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G단백질의 G알파 단위체의 조각이 ... ...
천상의 소리 대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않는다.쌍골죽은 지리산이나 상주, 문경 등 깊은 산속 경사진 곳이나 돌이 많은 곳에서
발견
된다. 생육환경이 좋지 않아서일까. 어렵게 찾은 쌍골죽은 S자 모양으로 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쌍골죽으로 대금을 만들면 손이 더 많이 간다. 먼저 쌍골죽의 습기를 제거한 뒤 가열하면서 휜 부분을 곧게 ... ...
포자에 꼬리 달거나 돌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호기심을 안고 숲속으로 새로운 버섯을 찾아 나서기 시작하면 늘 마음이 설렌다. 지난해에는 겨울을 준비하는 오대산의 전나무숲길에서 전에 보지 못한 뜻밖의 버섯을 ... 박사학위를 받았다. 20여 년간 전국을 누비며 흰비단털버섯, 대추씨말똥버섯을 비롯한 200여 종의 신종을
발견
했다 ... ...
평가기준 분석이 논술 준비의 핵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문제가 있거나 풀이를 체계적으로 전개하지 못하고 중구난방으로 써나가는 경우가 종종
발견
된다. 이런 경우도 마찬가지로 문제집 해설을 흉내내어 써보는 연습이 도움된다. >>> 2009학년도 서울대 정시 전형은 다단계로 이뤄진다. 1차에서 수능성적으로 전체 정원의 2배수를 선발한 뒤 수능성적을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 단장은 수십 nm(나노미터, 1nm=10-9m) 지름의 나노기둥이 빽빽이 솟아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도대체 어떤 원리로 이런 환상적인 구조가 나왔는지 궁금해지더군요. 이때부터 나노막대 연구가 시작됐죠.” 나노연구를 본격화한 이 교수팀은 반도체 물질인 산화아연(ZnO)이 나노기둥을 만드는 원리를 ... ...
[지구과학]모래층에서
발견
된 지진해일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2004년 지진해일로 형성됐다는 걸 알아냈다.그리고 아래쪽에서도 또 다른 흰 모래층을
발견
해 각 층에서 나온 나무 조각의 방사능탄소연대측정을 했다.그 결과 550~700년 전과 2500~2800년 전 사이에도 큰 지진해일이 있었음을 알아냈다.이 모래층은 바다에서 일어난 지진 때문에 생긴 지진해일이 이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프로그램도 개발한다. 예를 들어 질병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
발견
됐다고 하자. 이 단백질을 제어하는 약물을 개발하려면 활성부위를 찾아 활성을 막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알아야 한다. 김 교수는 “구조를 모르는 단백질이라도 아미노산 서열만 ... ...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못한다면 자신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들에게 불이익을 주게 된다. 다른 사람들은 내가
발견
한 라듐과 폴로늄을 이용해 새로운 화학물질을 만들고 색다른 실험을 통해 좋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특허로 과학기술을 원천적으로 봉쇄시키는 방식은 옳지 못한 선택이다. 인류를 ... ...
이전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