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해외 기업들이 아이디어를 선점한 아이폰 애플리케이션 시장 대신 아이패드 시장은 아직
가능
성이 많다”며 “사용자 입장에서 사진이나 동영상, 전자책처럼 ‘보는 애플리케이션’에 아이디어 승부를 걸어보면 좋겠다”고 말했다. 글 박근태 기자 kunta@donga.com 애플 vs 구글 전선 확대일로한 가지 더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리고 다양한 시선을 담아야 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라고 지적한다.이런 목표와
가능
성에도 불구하고 ‘사이언스온’이 넘어서야 할 벽은 있다. 무엇보다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생존기반인 수익모델이 없다는 점이다.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인터넷신문 ‘사이언스타임즈’는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진딧물 같은 해충이 없습니다. 엄격한 출입통제 시스템 덕분이죠.”LED조명으로 7단 재배
가능
원래 식물공장은 1960년대 유럽에서 등장했다. 일조량이 부족한 북유럽에서 인공조명이 설치된 온실에서 채소를 컨베이어 방식으로 생산하며 그런 이름을 붙였다. 그 뒤 일본에 소개되면서 지금처럼 건물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안 보입니다. 단 흐릿한 불빛만 보이죠. 그렇지만 차량의 흐름이나 경로는 추적이
가능
합니다. 신경세포의 경로도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차의 흐름과 비슷한 것으로 볼 수 있죠.”1992년 컵 안에 떨어진 잉크 방울이 퍼져 나가는 것 같은 확산현상을 이용한 MRI 기법인 DTI(Diffusion Tensor MRI)를 세계 최초로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때문이다. 물론 36.5℃의 체온을 항상 유지하는 인간이 순식간에 식는다는 것 자체가 불
가능
하다. 하지만 공포에 질렸을 때 표정이 굳고 식은땀을 흘리면서 그 자리에서 얼어붙는 현상을 이와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영국 런던대 레이먼드 돌란 교수팀은 가상공간에 있는 맹수가 실험자를 ... ...
학습계획서 작성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본인이 직접 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입학사정관들은 서류를 보고 수험생의 실력과
가능
성을 평가하고, 면접과 캠프를 통해 그 실체를 검증한다. 학습계획서에 담긴 내용이 모든 전형에서 일관성 있게 이어져야 한다. 둘째, 핵심 내용을 최대한 간결하고 조리 있게 작성한다. 학습계획서는 문장 ... ...
물의 힘으로 벽에 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미래에는 스파이더맨처럼 벽에 달라붙는 것이
가능
해 질지도 몰라요. 미국 코넬대학교 폴 스틴 교수 연구팀이 신발이나 장갑에 달면 물건을 자유롭게 붙였다 뗄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거든요.플로리다 토종 딱정벌레는 발바닥에 촘촘하게 난 털 끝(①)에서 나오는 액체의 표면장력을 이용해 자기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가지 않아 효율적이다. 하지만 언제나 한붓그리기가
가능
한 것은 아니다. 한붓그리기가
가능
하려면 오일러 회로거나 오일러 경로여야 한다. 오일러 회로는 어떤 점에서 시작해도 모든 변을 다지나 그 점으로 돌아오는 도형을 말한다. 이 도형은 임의의 꼭짓점에 연결된 변이 모두 짝수 개다. 오일러 ... ...
내 돈을 안전하게 지켜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주는 대목이다. 아빠 : 내일 비가 올 확률이 10%라는 말이 무슨 뜻일까?우철 : 10%? 비가 올
가능
성이 거의 없다는 거 같은데…. 정확히는 모르겠어요.아빠 : 그럼 전체 경우의 수가 100이라고 할 때 확률이 10%라면 특정한 사건이 몇 번 일어나야 할까?아빠 : 맞았어. 10%라는 말은 대략 100번에 10번 꼴로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데 쓰이는 단위. 욥토초 펄스 레이저가 개발되면 원자핵 크기만 한 구조를 조사하는 것도
가능
해진다. 단 펄스폭이 짧아질수록 펄스당 에너지가 급격히 작아지므로 출력을 높일 돌파구가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광컴퓨터 구현하는 초미니 레이저크기가 큰 레이저라고 효율도 높을까. 물론 ... ...
이전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