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조
대비
견줌
비유
비김
비교분석
분석
d라이브러리
"
비교
"(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북면으로 불리는 섬목~천부동~현포에 이르는 길은 도로사정이 나쁜 울릉도 안에서도
비교
적 일찍 길이 뚫린 곳이라 탐사단은 4륜구동 트럭으로 달리며 필요할 때마다 내려 지질형성의 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 노두(露頭)를 관찰했다.탐사단을 가장 먼저 신나게했던 것은 눈앞에 싫증이 날 만큼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대한 관심을 짐작하고도 남았다. 그런 개기일식이 있는지도 잘 모르는 우리 실정과는
비교
가 되지 않았다. 들떴던 마음에 먹구름이개기일식 시간이 다가옴에 따라 들떴던 마음에 먹구름이 끼기 시작했다. 낮에는 소나기가 오더니 10일밤에는 별들을 전혀볼 수 없었다.우리는 관측하기 가장 ... ...
5. 수첩크기 3백g짜리 초소형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경우 전체 무게의 약 30~40%를 차지한다. 요즘 가장 많이 쓰이는 니켈카드뮴 전지는
비교
적 가격이 싸고 충전이 용이하며 보통 2~3시간용 내장 배터리로 사용 가능하지만 보다 작고 가벼운 배터리가 개발되지 않아 크기나 무게를 줄이는데 애로사항이 되고 있다.효성컴퓨터의 박장근씨는 "컴퓨터는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불과 3천 여회(지구의 경우 10만번)의 약지진이 기록됐다. 이로 미루워 볼 때, 달의 내부는
비교
적 '평온'하고 지진은 지구의 경우보다 훨씬 깊은 6백~8백km 깊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지면의 안정성이 크게 요구되는 중력파(gravitational wave) 측정이나 광학간섭망원경 (optical interferometer)의 .. ...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서구 역시 나름대로 폭발하기 쉬운 화산들을 갖고 있다. 비록 일본이나 필리핀의 화산과
비교
할 때 하찮은 것이라해도 세인트헬렌 화산도 불의 고리가 낳은 작품이다. 기타 멕시코나 중미지역에도 화산들이 존재한다.현대의 가장 어마어마한 화산폭발은 1815년 인도네시아의 탐보로 화산에서 있었다.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더 결합시켜서 탐구했으면 좋지 않겠나 싶구요. 같은 화산섬인 울릉도와 제주도를
비교
해 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 같습니다.민선화 탐사 시작하던 첫날에는 미리 논문도 구해 읽고 이런 저런 준비도 해온 다른 선생님들을 보면서 주눅부터 들었습니다. 현장탐사를 나온 게 솔직이 10년도 넘었거든요.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또 IMO에 관심있는 학생들의 수가 급격히 많아져 선발과정의 경쟁이 치열해진 것도
비교
적 좋은 성적을 낸 배경이다. 아울러 4회째 참가하는 동안 경험과 자료가 축적됐고 통신강좌 주말강좌 동계강좌에 희생적으로 참여한 교수들의 노고의 덕이라 할 수 있다.참가학생들은 7월 13일까지 각자의 ... ...
1. 트랜지스터 1백만개 이상 집적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수는 없다. 즉 입출력 처리능력과 보조기억장치(보통 디스크 용량)등 모든 면을 다같이
비교
해야 되기 때문이다.또한 일을 나누어 처리하는 일(병렬처리)도 만만치 않은 일이다. 점차 발전은 하고 있으나 학자들이 초기에 기대했던 것과는 다르게 쉽게 해결이 되지 않고 있다. 즉 낮은 수준의 여러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스스로 양식을 만들어도 좋다), 4B~HB 정도의 연필과 지우개, 받침 그리고 스케치에
비교
적 시간이 소요되므로 피로를 방지하기 위해 자세를 편하게 할 의자와 조명기구가 필요하다. 달은 밝아서 작은 등을 옆에 켜두어도 무방하다.쌍안경으로 관측할 경우 분해능과 배율이 낮아 어느 정도 큰 지형만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측정기기)라는 특수한 인공위성 센서로 지구의 장파복사량을 측정, 태양 입사에너지량과
비교
검토했던 것이다. 그러나 ERBE센서의 불충분한 민감도와 위성의 한정된 수명으로 인해 ERBE에 의한 지구복사량 측정은 작년 12월을 기해 만료됐다. 그 대신 지금은 N0AA가 선보인 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 ...
이전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