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완벽한 동반자의 길을 걷다 퀴리부인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그는 물리학 학장을 찾아가 마리의 자리를 부탁했고, 마리는 실험을 시작하면서
박사
학위 논문 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1896년 앙리 베퀴렐이 발견한 ‘우라늄 광’은 그야말로 그녀의 과학적 열정을 사로잡기에 충분할 만큼 신기했다.곧 마리는 토륨 역시 우라늄과 같은 광선을 방출한다는 것을 ... ...
적외선으로 외계생명체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평균색으로 지구에 사는 식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슈나이더
박사
는 “지구 대기의 기존 파란색과 함께 지구의 적외선 색조를 이용하면 멀리 있는 행성이 지구와 같은 행성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제2의 지구를 찾기 위해 계획중인 ... ...
외계 생명체 찾으려면 깊게 파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따르면 실제 극한 환경에서 훨씬 많은 생물이 살 수 있다는 전망을 가능케 한다. 스코트
박사
는 이번 연구결과가 외계 행성에서 생물체를 찾을 때는 행성의 지표만 조사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의해 취소될 뻔한 운명을 맞기도 했다.1980년 제안자인 프랑스우주기구의 발몽트
박사
는 옛소련 과학자와의 칵테일자리에서 1984년에 위치한 금성의 중력을 이용한다면 1986년에 방문할 핼리혜성으로 탐사선을 보낼 수 있다는 점을 자랑스럽게 얘기했다. 이를 깨달은 옛소련 과학자들은 이런 황금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제기되는 주장이다. 1998년 미국 뉴욕대의 게오르기 드발리
박사
와 코넬대의 헨리 타이
박사
가 제기했던 ‘브레인 인플레이션’(브레인 폴) 이론이 그 중 하나다. 이 이론에서 우주는 미세한 끈과 차갑고 텅빈 막 여럿이 함께 들러붙은 양자적 혼돈 상태에서 나타난다. 만일 어떤 순간 막들 사이에 ... ...
3가지 빛깔의 과학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현재 활동하고 있는 과학자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큰 사람 중 하나인 제인 구달
박사
가 쓴 자신의 얘기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제인 구달은 아프리카 곰베에서 평생을 침팬지와 함께 생활하고 연구한 과학자이며, 전세계 야생동물 보호와 환경운동의 어머니다. 그녀는 1960년대 이후 곰베에서 ... ...
도시 크기의 미래 행성탐사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하고, 돛에 이끌리는 우주선의 거주지역은 돛에 비하면 작은 점에 불과하다. 랜디스
박사
는 “이 우주선은 매우 조용하게 미끄러지듯 움직이고, 도중에 만나는 먼지 입자가 가끔 돛에 부딪쳐 빛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다른 행성을 향한 우주탐사에 나서는 사람들은 일방통행의 여행이고 ... ...
구겨진 종이에 관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왜 이토록 종이를 구기는 일이 만만치 않은 것일까.미국 시카고대의 시드니 나겔
박사
팀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실험을 수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예상을 깨뜨리는 결과를 얻었다.구겨진 종이는 뾰족한 부분과 접혀있는 가장자리들의 집합 형태다. 이같은 모양 안에 종이뭉치를 압축시키는 에너지가 ... ...
차세대 메모리 칩 제조하는 나노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미국의 대표적인 과학잡지‘사이언티픽 어메리칸’은 지난해 과학기술 10개 분야의 최고 이슈 50가지를 선정했다. 이 중 물리학에서 6가지가 선정됐는데, 그 ... 과제로 선정됐다.현재 세계최고 수준의 이 연구실에는 3명의
박사
급 연구원과 10명의 석
박사
과정학생 등 14명이 참여하고 있다 ... ...
접착제 사용해 도구 만든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얘기다. 이는 기존 생각을 완전히 뒤집는 결과다. 하지만 영국 노팅엄대 마크 피어스
박사
는“실제 이 기술은 네안데르탈인이 개발한 것이 아니라 호모사피엔스의 것을 본 떴을 수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 ...
이전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