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1억원 있으면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최초의 민간우주비행을 성공리에 마친 멜빌의 소감이다. 올해 62세로 환갑이
지난
멜빌은 자타가 공인하는 시험비행의 달인이다. 항공기부문에서 최고도 비행 세계기록 보유자인 그는 지금까지 1백11대의 비행기와 헬리콥터로 6천4백시간을 비행했다. 날 수 있는 비행기라면 어떤 기종이라도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5종의 생물농약의 특허가 등록돼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이후 생물농약의 출원비율이 급속히 증가해 1990년대 초반 전체 농약특허출원 중 8.9%였던 비중이 2000년대 들어서는 18%로 2배 가량 높아졌다. 농업대국 미국에서도 1백80여종에 이르는 성분들이 ... ...
한반도에서 몸길이 6cm 아열대 곤충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것으로 알려진 곤충이 우리나라에서도 발견됐다.안동대 생명과학과 이종은 교수는
지난
2001년 7월 22일과 2003년 6월 30일 두차례에 걸쳐 경북 영양군 일대에서 국내 미확인종인 ‘영양사슴하늘소’ (가칭)를 채집했다고 6월 18일 개관한 영양군의 반딧불이 생태학교 전시관에서 소개했다.딱정벌레류로 ... ...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고로 인한 후천적 원인으로 장애를 겪고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지난
해 국내 농가에서 사용된 화학비료와 농약은 66만여t. 1ha당 3백42kg의 화학비료와 13kg의 농약이 우리의 식단을 위협하고 있다.이같은 통계를 보고 있자면 최근 유행하는 웰빙 열풍은 자연스러운 현상처럼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또 청각 능력의 회복과 뇌의 반응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6년 동안 과학기술부 중점연구과제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뇌과학연구센터를 중심으로 뇌신경정보학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5개 과제 중 인공시각과 인공청각에 대한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언어인지기능 연구를, 건양대병원 심장센터와 심장질환 진단 연구를 진행 중이다.한편
지난
4월 말 이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60채널 심자도 측정장비가 연세의료원 심장혈관병원에 설치돼 실제로 임상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이 박사는 “2년 정도 지나면 생체자기장 진단기술이 fMRI나 PET처럼 ... ...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나노기술은 산학연이 공동으로 참여해야 결실을 거둘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죠.”
지난
4년간 이 단장이 이끄는 사업단은 ‘테라비트급 단전자 메모리 개발’ 등 테라시대를 가능하게 할 나노소자를 속속 만들어내고 있다.“성과도 성과지만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다양한 경험을 쌓으면서 ... ...
공동실험 연구의 새 패러다임 원격실험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것이 아니라 화상 채팅을 하는 듯 즐거워 보였다.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이미
지난
5월 전주 분소와 고성군 낙도의 초등학교를 연결해 원격실험체험을 시범 운영한 경험이 있다.연구원측은 올해 몇차례 시범운영을 거쳐 원격실험체험을 내년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 ...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었다는 흔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최초의 새들이 4장의 날개를 가졌다는 이 주장은
지난
해 마이크로랩터의 발견으로 더 힘을 얻고 있다. 당시 발견된 마이크로랩터도 팔다리에 깃털이 달려있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랩터는 시조새보다 2천만년 후에 살았지만 4장의 날개로 하늘을 날았던 새에 ... ...
다이어트에는 저탄수화물 식단이 정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나자 여기에서도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를 한 쪽이 감량폭이 컸다. 그러나 12개월이
지난
뒤에는 양쪽이 서로 비슷했다. 저지방 다이어트를 한 쪽은 꾸준히 체중이 준 반면 저탄수화물 쪽은 6개월 뒤부터 체중이 정체했기 때문이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재향군인회의학센터의 린다 스턴 박사는 ... ...
이전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