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도달하는 과정에서도 시간차가 생긴다. 이 작은 차이를 이용해 정확하게 소리가 나는
위치
를 알아내므로, 풀 속의 바스락거리는 작은 소리만으로도 쥐를 잡을 수 있다.소리를 들을 수 있는 범위는 동물마다 차이가 있다. 사람의 가청범위는 16~2만Hz이고 개는 3만Hz, 박쥐는 10만Hz까지 들을 수 있다. ... ...
4. 핵사찰 허점 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전용여부를 조사하게 된다. 이와 병행해 사찰관은 각 원자력 시설에서 핵물질이 지정된
위치
에 있는지도 검사한다. 필요한 경우 핵물질의 일부를 채취해 핵물질의 성분 및 농축도 등에 관한 정밀검사를 실시하는데 일반적인 사찰 일 경우에는 이 정도로 사찰이 종료된다.핵사찰은 주로 핵물질인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백8바이트 만큼 증가시킨다. 이렇게 크기가 증가되는 이유는 그만큼이 바이러스 코드가
위치
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크기 증가도 com형 파일은 한 번만 발생하지만 exe형 파일은 그 특징상 실행될 때마다 발생하게 된다.필자가 가지고 있는 예루살렘 바이러스의 샘플은 아르카노이느(Alkanoid) II라는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전파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그 발생
위치
를 알 수 있으며 그 주파수 성분 크기로 그
위치
에서의 수소원자 농도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이 과정에서도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에서 사용했던 컴퓨터를 이용한 수학적 영상복원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에서의 기술축적이 자기공명 ... ...
대규모 탐색 작업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추가로 제공되기 때문만이 아니라 소련제 망원경들을 소련의 이곳저곳에
위치
시킴으로써 전파를 수집하는 영역이 보다 넓어질 수 있는 것이다.물론 외계인을 발견하는 것이 무슨 가치가 있느냐고 질문할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그 외계인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이해한다거나 지성있게 답할 수 있는 ... ...
(3) 산업현장과 의학 연구에도 새지평 열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간편해져서 어디서든 편리하게 사용돼질 수 있게 됐다.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위치
한 뉴포트(New Port) 회사는 이러한 목적의 장비를 생산해내는 전문업체다. 겨우 30㎏ 정도의 무게로 간편한 장비를 제작하는데, 주로 연구소나 공장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제작돼 있다. 단추만 누르면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후반에는 미국 전략공군사령부가 관리하는 모든 핵무기에 임의작동제한장치 또는 암호스
위치
가 정착됐다.소련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모든 미사일 및 핵탄두에 이들과 유사한 안전장치가 설치 된 것으로 믿어진다.우발적 핵전쟁을 막아주는 또 하나의 중요한 조치는 핵전쟁 대비 비상경계태세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것이다. 만약 이중성단이 오리온자리의 별들처럼 우리에게서 좀 더 가까운 곳에
위치
했다면 굉장히 크고 밝게 보였을 것이다. 겨울이 오는 신호페르세우스 뒤를 이어 하늘에 보이기 시작하는 별자리는 5각형 모양을 한 마차부자리다. 페르세우스자리의 화려한 모습과 비교할 때 마차부자리는 약간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위성은 자국 영토나 영해내에서 발사하지만 궤도진입은 영공이 아닌 공해상의 하늘에
위치
하므로 이를 악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특히 전력소모가 큰 방송위성(DBS, Direct Broadcasting Satellite)은 자국영토에서 서쪽으로 멀어질수록 심야TV중계에 유리하므로(전력절감) 타국상공에 떠 있게 마련이다.일단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때를 말한다. 그런데 문제는 한 근일점에서 다음 근일점으로 갈 때까지 정확하게 태양의
위치
를 한번 돌지않아 과학자들을 1백년 이상 고민에 빠뜨렸다. 1세기 동안 타원궤도에서 43″의 차가 났다. 이를 해결한 것이 아인슈타인. 일반 상대성이론은 이 현상을 예측했고 실제 관찰 결과 정확히 ... ...
이전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