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뉴스
"
과학
"(으)로 총 29,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컴퓨터도 예측 못한 게릴라 장마…AI·양자컴이 해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7.07
보인 것이다. 기상청이 현재 기상예측에 활용 중인 슈퍼컴퓨터 5호기. 기상청 제공
과학
자들은 더 정교한 기상예측을 위해 인공지능(AI)과 양자컴퓨터를 활용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치 톈 중국 중국 화웨이클라우드 연구원 연구팀은 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약 40년에 ... ...
"日 오염수 삼중수소 2.2g...1년간 비로 내리는 삼중수소는 5g"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한국
과학
기술한림원이 6일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후 방류의 국내 영향'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박건희 기자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 ... 모 교수를 섭외했으나 참석을 거절했다"라며 "의도적으로 패널을 구성한 것이 아니라
과학
계의 실제 의견이 이렇다는 것을 이해해달라"라고 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UNIST, 고성능 이온성 고분자 열전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소재다.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6월 5일 공개됐다. ■ 광주
과학
기술원(GIST)은 박찬호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와 장승순 조지아공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이리듐 사용량을 절감하면서도 기존보다 1.5배 높은 활성도를 지닌 이리듐 촉매를 개발했다고 6일 알렸다. 이리듐은 ... ...
”한국서 의대 쏠림 안타까워...도전하는 의사
과학
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게 없다”며 “기댈 데 없이 황야에 홀로 선 느낌이다. 국가 차원의 지원이 이뤄진다면
과학
자 개인은 물론 국가 산업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어떤 분야든 리더십을 가지려면 10~20년 이상 시간이 걸린다는 점에서 장기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고도 설명했다. 그는 “그동안 한국이 ... ...
자폐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메커니즘을 확인하고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분자 정신
과학
’에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자폐증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떨어지고 반복 행동, 지적 장애, 과잉 행동, 불안 장애 등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세계 인구 36명 중 1명(2.8%)에게 나타날 정도로 유병률이 높아 ... ...
정부 "日 오염수 관련 자체 검토보고서 7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제공 정부가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자체
과학
·기술적 검토보고서를 오는 7일 발표한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6일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일일브리핑에서 "우리 정부는 그간 일본측이 내놓은 공개자료 및 시찰단 활동에서 확보한 자료 등에 ... ...
진화의 최소 단위는…"유전자 493개 합성박테리아 진화 확인"
연합뉴스
l
2023.07.06
1만5천배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 연합뉴스 미국 인디애나대 제이 T. 레넌 교수팀은 6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합성 박테리아 '마이코플라스마 마이코이데스 JCVI-syn3B'를 300일간 자유롭게 진화할 수 있는 환경에서 배양하는 실험에서 이들이 돌연변이를 통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 ...
개가 사람보다 반응 빠른 이유 찾을까...개 후성유전체 표준지도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조제열 교수 연구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개의 후성유전체 기능 표준지도를 작성했다.
과학
기술정보통신부는 조제열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개의 기능 유전체학 연구 분야 길을 여는 후성유전체 지도를 작성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 ...
중금속 전자 궤적 야구변화구처럼 제어...한국 연구진 세계 최초 시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
기술정보통신부는 최경민 성균관대 에너지
과학
과 교수 연구팀과 이현우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경금속 내부에서 전자 궤적을 야구 변화구처럼 휘도록 제어하는 것을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 지원으로 수행한 ... ...
병원성 바이러스서 mRNA백신 성능 높이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유전자 치료제의 안전성과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빛내리 기초
과학
연구원(IBS) RNA연구단장 연구팀은 수백 종의 바이러스RNA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대량 시퀀싱 기술을 이용해 RNA 안정성과 단백질 생산을 증가시키는 염기서열을 발견하고 이를 ‘K5’로 명명했다. 이번 ... ...
이전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