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투수 메이저리그 투수로 살아남는 전략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박찬호와 김병현은 미국 메이저리그에 진출해 성공한 사례로 꼽히는 투수다.이들은 여러 면에서 비교가 되는데, 특히 눈에 띄는 차이점은 투구폼이다.박찬호와 김 ... 선수가 언더핸드 투수임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의 공을 던질 수 있는데는 그가 온
몸
을 실어 공을 던지기 때문일 것이다 ... ...
너무나 엽기적인 그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좁은 MRI 촬영기 속에 집어넣고 성행위를 하게 했던 생리학자들. 연구를 위해서라면 자기
몸
에 컴퓨터 칩을 박는 일도 마다하지 않았던 컴퓨터공학자. 발냄새의 원인을 찾기 위해 피험자들의 발 냄새를 맡으며 실험을 해야 했던 화학자들. 성기 길이와 발 크기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십명의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프로테오믹스, proteomics)이라는 이름의 최첨단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우리
몸
의 설계도에 해당되는 유전자를 발견하고 그 기능을 알아내기 위한 유전체학(genomics)과 함께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의 쌍두마차다. 단백질체학은 생명현상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전산학·통계학·수학적 도구를 ... ...
Ⅰ타자 돌아온 이종범, 달라진 타법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않는, 여느 타자와 다른 방식으로 방망이를 휘두른다고 한다.대개 방망이를 휘두를 때
몸
과 함께 돌아가는 동안 방망이를 쥔 양손이 같은 방향으로 힘을 준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과연 맞을까. 방망이를 쥔 양손을 살펴보자. 두손이 방망이를 잡은 방향은 반대다. 이를 통해 방망이를 휘두르는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에트나 화산을 찾아갔다. 그런데 화산을 관찰하던 엠페도클레스는 돌연 분화구 속으로
몸
을 던졌다. 그 이유에 대해 다양한 설이 존재하지만, 혹시 그는 분화구 속을 떨어지면서 무엇을 관찰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자연과학이 발달한 그리스 시대에 비해 중세는 과학 분야의 암흑기였다. 이 ... ...
미역 성분으로 만든 캡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이는 스펀지가 물을 빨아들이듯이 알긴산이 중금속이나 농약, 발암물질 등을 빨아들여
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말한다.미역과 같은 천연 음식물 외에도 최근에는 음료에서 알긴산을 찾아볼 수 있다. 건강음료로 불리는 몇종류의 음료에 포함돼 있다. 음료를 살 때 한번쯤 알긴산이 포함됐는지 ... ...
공룡이론의 격전장 쥬라기공원3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같은 어룡이다. 수장룡은 목긴 공룡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리가 물갈퀴로 변했으며
몸
은 유선형이다. 어룡은 돌고래처럼 생긴 파충류다. 4편에서는 이들이 바다를 주름잡으며 영화 전편에 등장할 수도 있다. 스필버그 감독의 출세작이 ‘죠스’라는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유력한 시나리오다.아예 ... ...
Ⅳ 사인 감독과 주자 그들만의 언어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다음 공으로 커브가 들어온다는 사실을 알았다고 하자. 하지만 실제로 들어온 공이
몸
쪽 직구라면 꼼짝없이 서서 당할 것이다.사인을 매 이닝, 또는 매 투구마다 바꿀 수 있고, 미리 몇개의 공을 정해놓고 던질 수도 있다. 아니면 상대편에게 사인을 바꾼다고 시위해놓고 실제로는 바꾸지 않을 수 ... ...
스스로 사이보그가 된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과학자들은 자신의
몸
을 던져 자신의 이론을 입증해냈다. 놀랍게도 요즘에도 자신의
몸
을 과학연구를 위해 내놓는 과학자가 있다. 최근 방한한 영국 레딩대학의 케빈 워릭 교수가 그 주인공.워릭 교수는 1998년 자신의 팔에 컴퓨터 칩을 이식했다. 수술 후 워릭 교수가 연구실이 있는 건물로 들어서면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태어나는 아이가 가진 미토콘드리아 DNA는 전적으로 어머니로부터 물려받는다. 물론 딸의
몸
만을 통해 미토콘드리아 DNA는 계속 전달된다.1987년 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의 앨런 윌슨 박사팀은 각 대륙을 대표하는 1백47명의 여성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한 결과 이들이 모두 약 20만년 전 ... ...
이전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