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항공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배우게 된다.이외에 항공통신정보
공학
과라든가 항공전자
공학
과 항공경영학과 등도 항공
공학
에 관련된 분야뿐 아니라 해당학과의 일반 공과대 과정도 함께 이수하게끔 돼있다. 말하자면 공과대학+항공관계기술이 교과과정인 셈이다.항공대학의 학생활동은 그 특수성을 반영, 비행기에 관련된 ... ...
유전
공학
물질특허의 밀물 유전
공학
활성화 할듯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대한 기초 지식의 확대와 암유 발 기작 규명에 보다 큰 업적이 나올 것으로 생각된다.유전
공학
제품에 있어서는 간염백신, 인터페론, 인터루이킨-2의 개발 연구에 박차가 가해질 것이며, 수정란의 동결보존 및 이식 성공으로 우량가축 생산의 길이 열릴전망이다. 또한 꽃가루 배양에 의한 벼품종 ... ...
PART1 하이테크에서의 일본의 기술력 세계제일은 시간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AP통신은 '전자
공학
분야에서 트랜지스터가 진공관을 대체한 것과 같은 진보를 광전자
공학
에 부여한 것'으로 전했다.1775년 이후 1백년은 영국이 제1차 수송혁명인 철도를, 1875년 이후 1백년은 미국이 제2차 수송혁명인 자동차를, 1975년 이후는 일본이 '광통신'이라는 이름의 제3의 수송혁명을 연출하기 ... ...
한국화학연구소 안전성 연구 센터 노정구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74년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77년부터 84년까지 KAIST생물
공학
부의 선임·책임 연구원을 역임했다. 화학연구소에 발을 디딘 것은 지난 84년부터.-새로운 분야인 독성 안전성 연구에는 여러가지 애로가 있었을 텐데요."전인미답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는 ... ...
87년도 과학계 전망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과학계의 1987년은 정보산업 유전
공학
신소재 정밀화학등 첨단분야가 새기술과 제품을 앞다퉈 내놓아 2000년대의 길목에 들어설 바탕을 다지는 한해가 될것이다. ...
정보산업 인공지능개발 두드러질 듯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우리나라 정보산업은 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캐치프레이즈로만 내걸었던 컴퓨터에 대한 여러가지 구상과 목표가 조금씩 내적기반을 쌓아가면서 착실히 발전되어갈 기미를 보이기 시작한다. 그동안 관련기술이 진전되어온 내용을 보면 외형상으로는 그런대로 선진국에서 이룬 연구개발과 기 ... ...
PART 1 기술복합화의 총아 기계의 지능화 시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이러한 점은 전체적인 신뢰성 향상에 작용하는 바가 크다. 내환경성은 일반적으로
공학
기술적인 규정이 명확하게 될 수 없는 대상이기는 하나 먼지부스러기 문제는 본체구조가 저항력을 갖추어야 할 것을 명확히 한다.□센서부센서는 용도에 따라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시스템 내부의 상태를 ... ...
심전도 데이타처리를 중심으로 한 의료자동진단과 컴퓨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morphology) 분류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인하대학교 공과대학의 의용
공학
연구팀은 ECG패턴의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정부가 2000년대를 향한 전략산업의 하나로 의료정보의 자동화 시스템 개발을 계획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분야의 획기적인 ... ...
PC수출의 기수 박성규박사, 올해의 인물로 선정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크게 공헌한 것으로 평가되었다.박박사는 서울대 화공과를 2년 수료후 MIT공대 전자
공학
과를 졸업하고 71년 텍사스 오스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에서 학계 산업계를 두루 거친 후 국내에 귀국 대우통신 부사장에 재직 중이다."당연한 일을 한 것에 불과한데 이렇게 뽑아주어 오히려 어깨가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했는데 그중의 하나가 전자병기에 관한 일이었읍니다. 그것이 계기가 돼 유학가서 전자
공학
그중에서도 반도체를 공부하게 됐읍니다.그래서 저는 항상 이렇게 주장합니다. 늦었다고 생각하는 순간에 일을 시작하면 가장 빠르다는 것이지요. 우리나라 반도체산업도 결코 늦은 것이 아닙니다." ... ...
이전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