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음
뉴스
"
다음다음
"(으)로 총 6,2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별 세포 조종 성공…맞춤형 치료 가능해지나
과학동아
l
2014.05.21
사람의 몸속에 들어 있는 세포를 원하는 대로 조종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세포에 약물을 실어 환부로 보내는 맞춤형 치료, 백혈구 등을 환부로 집중적으로 보내는 세포치료 등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신물질과학전공 김철기 교수 연구팀은 미국 듀크대 연구 ... ...
토종 항암물질 상용화 파란불
과학동아
l
2014.05.19
말기에 이른 폐섬유증 환자의 폐. FDA 임상시험 1상 승인을 받은 이번 후보물질은 동물실험에서 폐섬유증을 치료하는 효과를 보였다. - 위키미디어 제공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항암신약 후보물질이 최근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상 시험을 승인 받아 미국 현지 임상 시험에 착수했다. ... ...
"진주운석이 소중한 건 우주 궤도를 알 수 있기 때문"
과학동아
l
2014.05.19
"운석의 모체인 유성체의 시간을 거꾸로 되돌려 지금부터 천 년, 만 년 전부터 어떤 경로로 지구에 왔는지 아는 게 중요합니다. 운석을 연구하는 이유 중 하나이지요. 이렇게 태양계를 역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태양계의 진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17일 '제9회 과학동아 카페'에 참 ... ...
수학을 활용하면 시차 적응도 OK~!
수학동아
l
2014.05.19
장시간 비행기를 타고 외국에 가면 여행의 설렘을 느끼기도 전에 먼저 찾아오는 불청객이 있다. 바로 시차증이다. 시차증은 표준시간대가 달라지면 신체의 수면 주기가 어긋나게 되어 피로감을 느끼는 증상이다. 지난 2월에 열린 소치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미국 대표팀이 시차증을 극복하고 ... ...
시어도어의 사랑은 축복받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5.18
“지금 내가 컴퓨터와 이런 대화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이 믿기질 않는군요.” “아니죠. 당신은 지금 ‘저’와 대화하는 중이에요.” 편지 대필서비스 업체에서 일하는 시어도어(호아킨 피닉스 분)는 낭만적인 문장을 만들어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는 일을 하면서도 정작 본인은 부인과 별거 ... ...
기생충에서 공존의 미덕을 배운다
과학동아
l
2014.05.18
◆서민의 기생충 같은 이야기 (서민, 지승호 著, 인물과사상사 刊) ‘서민’적 외모와 유머러스한 언행으로 잘 알려진 저자는 ‘연가시’를 시작으로 최근 방송과 언론계를 종횡무진하고 있다. ‘학자가 연구는 안 하고’라는 오해도 받지만 해마다 10편이 넘는 논문을 쓰는 천생 학자라는 사실 ... ...
한인 과학자, iPS세포로 원숭이 뼈 재생 성공
과학동아
l
2014.05.16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로 환자를 치료할 날이 성큼 다가왔다. 한국인 과학자가 이끈 미국 연구진이 iPS세포로 원숭이의 뼈를 재생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홍소군 박사후연구원 미국 국립보건원(NIH) 국립심폐혈액연구소(NHLBI) 홍소군 박사후연구원이 ... ...
사이언스 브리핑
동아사이언스
l
2014.05.16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오태광)은 ‘한미 BT 창조경제 리더양성 지원사업’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 사업에 선정되면 최대 2년간 미국 국립보건원(NIH)에 파견돼 연구를 수행하고 기술이전 교육도 받는다. 지원 대상은 국내 생명공학(BT)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이며, 다음 달 30일까지 생명연 홈페이 ... ...
문어 빨판, 벼룩 뒷다리, 파리지옥 이빨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4.05.16
영국 탈린공대 연구팀이 개발한 수중촬영용 로봇. 바다거북처럼 4개의 물갈퀴를 달아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다. - 탈린공대 제공 수심 1m의 평화로운 수조 속. 어기적거리며 바닥을 기어가던 문어가 다리를 뻗어 돌을 더듬는다. 먹잇감을 찾는 중이다. 그 순간 다리로 전해지는 낯선 감 ... ...
압전소자 하나로 LED 105개 동시에 번쩍
과학동아
l
2014.05.15
KAIST 연구진이 개발한 신개념 나노발전기의 모습. 소재과학 전문 저널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표지논문에 실렸다. - 어드밴스드머티리얼스 제공 소형 발광다이오드(LED) 105개를 한꺼번에 켤 수 있는 초소형 압전소자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압전소자란 누르거나 구부리기만 하면 전기 ... ...
이전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
다음
공지사항